See 절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derived": [ { "word": "절간" }, { "word": "절집" }, { "word": "절터"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proverbs": [ { "word": "속담: 절에 가면 중이 되라: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처신하라는 뜻." } ], "senses": [ { "examples": [ { "text": "절을 찾아 마음을 수양해야겠다." }, { "text": "초파일 날 절에 가다." }, { "text": "마음이 불안해지면 절을 찾는다." }, { "text": "절에선 다섯 시면 아침 공양인데 저자의 중생들은 열 시가 넘어도 밥 먹을 생각을 안 하는구나.≪김성동, 만다라≫" }, { "text": "오늘은 초파일이라, 절에 가서 꼭 불공을 드려야 하니….≪임동권, 끈 떨어진 뒤웅박≫" } ], "glosses": [ "승려가 불상을 모신 전각을 중심으로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 "id": "ko-절-ko-noun-YxlPbhnF"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raw_tags": [ "淨刹" ], "word": "각원" }, { "raw_tags": [ "淨刹" ], "word": "감우" }, { "raw_tags": [ "淨刹" ], "word": "감원" }, { "raw_tags": [ "淨刹" ], "word": "금지" }, { "raw_tags": [ "淨刹" ], "word": "범우" }, { "raw_tags": [ "淨刹" ], "word": "범찰" }, { "raw_tags": [ "淨刹" ], "word": "법동" }, { "raw_tags": [ "淨刹" ], "word": "불가" }, { "raw_tags": [ "淨刹" ], "word": "불사" }, { "raw_tags": [ "淨刹" ], "word": "불찰" }, { "raw_tags": [ "淨刹" ], "word": "사문"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사"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우"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원"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찰" }, { "raw_tags": [ "淨刹" ], "word": "선궁" }, { "raw_tags": [ "淨刹" ], "word": "승방" }, { "raw_tags": [ "淨刹" ], "word": "승사" }, { "raw_tags": [ "淨刹" ], "word": "승원" }, { "raw_tags": [ "淨刹" ], "word": "적정처" }, { "raw_tags": [ "淨刹" ], "word": "정궁" }, { "raw_tags": [ "淨刹" ], "word": "정사" }, { "raw_tags": [ "淨刹" ], "word": "정찰" }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word": "Buddhist" }, { "lang": "영어", "lang_code": "en", "word": "temple" } ], "word": "절"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선생님께 절을 하다." }, { "text": "시집가기 전에 큰 절하는 법을 잘 배워야 한다." }, { "text": "절을 드리다." }, { "text": "절을 받다." }, { "text": "절을 올리다." }, { "text": "손을 높이 치켜들어서 공손히 절 한 번 하고 그대로 엎드려서 한바탕 통곡하였다.≪홍명희, 임꺽정≫" }, { "text": "이거 어린애한테 절은 못 받을망정 이런 망신이 어디 있어?≪박경리, 토지≫" }, { "text": "춥다, 방에 들어가 있어라. 절은 무슨 절. 얼굴 보면 됐다.≪한수산, 유민≫" }, { "text": "동사: 절하다" } ], "glosses": [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 "id": "ko-절-ko-noun-NSwjA3rK"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word": "인사" }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word": "bow"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word": "greeting" } ], "word": "절"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통사적 단위의 하나로 더 큰 문장의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 ], "id": "ko-절-ko-noun-~wE8bbuz"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통사적 단위의 하나로 더 큰 문장의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 "word": "마디" } ], "word": "절"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절을 차려 상에 놓다." } ], "glosses": [ "'젓가락'의 강원, 충청, 경상도 지방의 사투리." ], "id": "ko-절-ko-noun-PxhK5krz"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절"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유니코드 Hangul Syllables",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표준어 단일어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표준어 단일어어근",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표준어 자립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강원도 사투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건축물",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경상도 사투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문법",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불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충청도 사투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한자 독음",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한자 切"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root", "pos_title": "어근", "senses": [ { "glosses": [ "'절하다'의 어근." ], "id": "ko-절-ko-root-oRvP8DuC"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절" }
{ "categories": [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 "derived": [ { "word": "절간" }, { "word": "절집" }, { "word": "절터"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proverbs": [ { "word": "속담: 절에 가면 중이 되라: 자신이 처한 상황에 맞게 처신하라는 뜻." } ], "senses": [ { "examples": [ { "text": "절을 찾아 마음을 수양해야겠다." }, { "text": "초파일 날 절에 가다." }, { "text": "마음이 불안해지면 절을 찾는다." }, { "text": "절에선 다섯 시면 아침 공양인데 저자의 중생들은 열 시가 넘어도 밥 먹을 생각을 안 하는구나.≪김성동, 만다라≫" }, { "text": "오늘은 초파일이라, 절에 가서 꼭 불공을 드려야 하니….≪임동권, 끈 떨어진 뒤웅박≫" } ], "glosses": [ "승려가 불상을 모신 전각을 중심으로 불도(佛道)를 닦으며 교법을 펴는 집." ]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raw_tags": [ "淨刹" ], "word": "각원" }, { "raw_tags": [ "淨刹" ], "word": "감우" }, { "raw_tags": [ "淨刹" ], "word": "감원" }, { "raw_tags": [ "淨刹" ], "word": "금지" }, { "raw_tags": [ "淨刹" ], "word": "범우" }, { "raw_tags": [ "淨刹" ], "word": "범찰" }, { "raw_tags": [ "淨刹" ], "word": "법동" }, { "raw_tags": [ "淨刹" ], "word": "불가" }, { "raw_tags": [ "淨刹" ], "word": "불사" }, { "raw_tags": [ "淨刹" ], "word": "불찰" }, { "raw_tags": [ "淨刹" ], "word": "사문"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사"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우"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원" }, { "raw_tags": [ "淨刹" ], "word": "사찰" }, { "raw_tags": [ "淨刹" ], "word": "선궁" }, { "raw_tags": [ "淨刹" ], "word": "승방" }, { "raw_tags": [ "淨刹" ], "word": "승사" }, { "raw_tags": [ "淨刹" ], "word": "승원" }, { "raw_tags": [ "淨刹" ], "word": "적정처" }, { "raw_tags": [ "淨刹" ], "word": "정궁" }, { "raw_tags": [ "淨刹" ], "word": "정사" }, { "raw_tags": [ "淨刹" ], "word": "정찰" }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word": "Buddhist" }, { "lang": "영어", "lang_code": "en", "word": "temple" } ], "word": "절" } { "categories": [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선생님께 절을 하다." }, { "text": "시집가기 전에 큰 절하는 법을 잘 배워야 한다." }, { "text": "절을 드리다." }, { "text": "절을 받다." }, { "text": "절을 올리다." }, { "text": "손을 높이 치켜들어서 공손히 절 한 번 하고 그대로 엎드려서 한바탕 통곡하였다.≪홍명희, 임꺽정≫" }, { "text": "이거 어린애한테 절은 못 받을망정 이런 망신이 어디 있어?≪박경리, 토지≫" }, { "text": "춥다, 방에 들어가 있어라. 절은 무슨 절. 얼굴 보면 됐다.≪한수산, 유민≫" }, { "text": "동사: 절하다" } ], "glosses": [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word": "인사" }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word": "bow"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사람을 만났을 때, 혹은 특별한 의식에서 머리와 몸을 숙여서 예의를 표시하는 것. 인사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이다. 공경하는 정도나 상황 및 대상에 따라 하는 방법이 다르다.", "word": "greeting" } ], "word": "절" } { "categories": [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통사적 단위의 하나로 더 큰 문장의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 ]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통사적 단위의 하나로 더 큰 문장의 성분으로 쓰이는 단위.", "word": "마디" } ], "word": "절" } { "categories": [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절을 차려 상에 놓다." } ], "glosses": [ "'젓가락'의 강원, 충청, 경상도 지방의 사투리." ]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절" } { "categories": [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유니코드 Hangul Syllables", "표준어 단일어명사", "표준어 단일어어근", "표준어 자립명사", "한국어 강원도 사투리", "한국어 건축물", "한국어 경상도 사투리", "한국어 문법", "한국어 불교", "한국어 충청도 사투리", "한국어 한자 독음" ], "etymology_texts": [ "한자 切"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root", "pos_title": "어근", "senses": [ { "glosses": [ "'절하다'의 어근." ] } ], "sounds": [ { "ipa": "[t͡ɕʌ̹ɭ]",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절]"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jeol",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chŏl",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cel",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절"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절 meaning in 한국어 (6.9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8-17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8-02 using wiktextract (0c45963 and 3c020d2).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