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독수리" meaning in 한국어

See 검독수리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Noun

IPA: kəm.dok.su.ri, [kʌ̹mdo̞ks͈uɾi] [SK-Standard, Seoul]
  1.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Sense id: ko-검독수리-ko-noun-U60413Sx
The following are not (yet) sense-disambiguated
Translations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aguia real [feminine] (갈리시아어), χρυσαετός (chrisaetós) [masculine, archaic] (그리스어), χρυσαίετος (khrysaíetos) [masculine] (그리스어), atsátsoh (나바호어), steenarend [masculine] (네덜란드어), kongeørn (노르웨이어), kongeørn (덴마크어), Steinadler [masculine] (독일어), klinšu ērglis [masculine] (라트비아어), беркут (bérkut) [masculine] (러시아어), evla dela pizza [feminine] (로망슈어), evla da la pizza [feminine] (로망슈어), acvilă de munte [feminine] (루마니아어), kilnusis erelis [masculine] (리투아니아어), сури орел (súri órel) [masculine] (마케도니아어), златен орел (zláten órel) [masculine] (마케도니아어), helang emas (말레이어), urley buigh [masculine] (맨어), ajkla rjali (몰타어), цармын бүргэд (tsarmyn bürged) (몽골어), arrano beltza (바스크어), беркут (bérkut) [masculine] (벨라루스어), goaskin (북부사미어), скален орел (skálem orél) [masculine] (불가리아어), erer meur (브레통어), planinski orel (상소르브어), keningsearn (서프리지아어), златаш [masculine] (세르보크로아트어), црни орао [masculine] (세르보크로아트어), zlataš [masculine] (세르보크로아트어), crni orao [masculine, Latin] (세르보크로아트어), tai-mfalme (스와힐리어), tai wa dhahabu (스와힐리어), kungsörn (스웨덴어), iolair-bhuidhe [feminine] (스코틀랜드게일어), águila real [feminine] (스페인어), orol skalný [masculine] (슬로바키아어), orel skalni [masculine] (슬로베니아어), عقاب ذهبي (ʿuqāb ḏahabiyy) [masculine] (아랍어), хъвекцӀум (qʷekcʼum) (아바르어), gullörn [masculine] (아이슬란드어), iolar fíréan [masculine] (아일랜드어), berqut (아제르바이잔어), shqiponja e malit (알바니아어), kaljukotkas (에스토니아어), reĝa aglo (에스페란토), golden eagle (영어), беркут (berkút) [masculine] (우크라이나어), eryr euraid (웨일스어), aquila reale (inuwashi) [feminine] (이탈리아어), 金雕 (jīndiāo) (중국어), цӀокъ-аьрзу (cʼoq-ärzu) (체첸어), дарта (체첸어), orel skalní [masculine] (체코어), бгъэ (bʁɑ) (카바르딘어), бүркіт (bürkit) (카자흐어), àguila daurada [feminine] (카탈루냐어), àguila reial [feminine] (카탈루냐어), бүркүт (bürküt) (키르기스어), бөркет (타타르어), börket [Latin] (타타르어), kaya kartalı (터키어), altın kartal (터키어), bürgüt (투르크멘어), kongaørn (페로어), عقاب طلایی (oqâb-e talâyi) (페르시아어), águia-real [feminine] (포르투갈어), orzeł przedni [masculine] (폴란드어), aigle royal [masculine] (프랑스어), maakotka (핀란드어), 'aeko kula (하와이어), szirti sas (헝가리어)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조류",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
      "id": "ko-검독수리-ko-noun-U60413Sx"
    }
  ],
  "sounds": [
    {
      "ipa": "kəm.dok.su.ri"
    },
    {
      "ipa": "[kʌ̹mdo̞ks͈uɾi]",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검독쑤리]"
    },
    {
      "roman": "geomdoksur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eomdogsul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ŏmdoksur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emtok.swuli",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guia real"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chrisaetó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archaic"
      ],
      "word": "χρυσαετό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khrysaíeto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χρυσαίετος"
    },
    {
      "lang": "나바호어",
      "lang_code": "n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tsátsoh"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steenarend"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ongeørn"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ongeørn"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Steinadler"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klinšu ērglis"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bérku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беркут"
    },
    {
      "lang": "로망슈어",
      "lang_code": "rm",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evla dela pizza"
    },
    {
      "lang": "로망슈어",
      "lang_code": "rm",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evla da la pizza"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cvilă de munte"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kilnusis erelis"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súri óre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сури орел"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zláten óre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златен орел"
    },
    {
      "lang": "말레이어",
      "lang_code": "m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helang emas"
    },
    {
      "lang": "맨어",
      "lang_code": "g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urley buigh"
    },
    {
      "lang": "몰타어",
      "lang_code": "m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jkla rjali"
    },
    {
      "lang": "몽골어",
      "lang_code": "mn",
      "roman": "tsarmyn bürged",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цармын бүргэд"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rrano beltza"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roman": "bérku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беркут"
    },
    {
      "lang": "북부사미어",
      "lang_code": "se",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goaskin"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roman": "skálem oré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скален орел"
    },
    {
      "lang": "브레통어",
      "lang_code": "b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erer meur"
    },
    {
      "lang": "상소르브어",
      "lang_code": "hsb",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planinski orel"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златаш"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raw_tags": [
        "키릴"
      ],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црни орао"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zlataš"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Latin"
      ],
      "word": "crni orao"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eningsearn"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tai-mfalme"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tai wa dhahabu"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ungsörn"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iolair-bhuidhe"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ol skalný"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el skalni"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ʿuqāb ḏahabiyy",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عقاب ذهبي"
    },
    {
      "lang": "아바르어",
      "lang_code": "av",
      "roman": "qʷekcʼum",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хъвекцӀум"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gullörn"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iolar fíréan"
    },
    {
      "lang": "아제르바이잔어",
      "lang_code": "az",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berqut"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shqiponja e malit"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aljukotkas"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águila real"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reĝa agl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golden eagle"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roman": "berkú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беркут"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eryr euraid"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roman": "inuwashi",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quila reale"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jīndiā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金雕"
    },
    {
      "lang": "체첸어",
      "lang_code": "ce",
      "roman": "cʼoq-ärzu",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цӀокъ-аьрзу"
    },
    {
      "lang": "체첸어",
      "lang_code": "ce",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дарта"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el skalní"
    },
    {
      "lang": "카바르딘어",
      "lang_code": "kbd",
      "roman": "bʁɑ",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гъэ"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roman": "bürki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үркіт"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àguila daurada"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àguila reial"
    },
    {
      "lang": "키르기스어",
      "lang_code": "ky",
      "roman": "bürkü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үркүт"
    },
    {
      "lang": "타타르어",
      "lang_code": "tt",
      "raw_tags": [
        "키릴"
      ],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өркет"
    },
    {
      "lang": "타타르어",
      "lang_code": "t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Latin"
      ],
      "word": "börket"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aya kartalı"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ltın kartal"
    },
    {
      "lang": "투르크멘어",
      "lang_code": "tk",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bürgüt"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ongaørn"
    },
    {
      "lang": "페르시아어",
      "lang_code": "fa",
      "roman": "oqâb-e talâyi",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عقاب طلایی"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águia-real"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zeł przedni"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aigle royal"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maakotka"
    },
    {
      "lang": "하와이어",
      "lang_code": "haw",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eko kul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szirti sas"
    }
  ],
  "word": "검독수리"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명사",
    "한국어 조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
    }
  ],
  "sounds": [
    {
      "ipa": "kəm.dok.su.ri"
    },
    {
      "ipa": "[kʌ̹mdo̞ks͈uɾi]",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검독쑤리]"
    },
    {
      "roman": "geomdoksur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eomdogsul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ŏmdoksur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emtok.swuli",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guia real"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chrisaetó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archaic"
      ],
      "word": "χρυσαετό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khrysaíeto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χρυσαίετος"
    },
    {
      "lang": "나바호어",
      "lang_code": "n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tsátsoh"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steenarend"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ongeørn"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ongeørn"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Steinadler"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klinšu ērglis"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bérku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беркут"
    },
    {
      "lang": "로망슈어",
      "lang_code": "rm",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evla dela pizza"
    },
    {
      "lang": "로망슈어",
      "lang_code": "rm",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evla da la pizza"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cvilă de munte"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kilnusis erelis"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súri óre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сури орел"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zláten óre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златен орел"
    },
    {
      "lang": "말레이어",
      "lang_code": "m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helang emas"
    },
    {
      "lang": "맨어",
      "lang_code": "g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urley buigh"
    },
    {
      "lang": "몰타어",
      "lang_code": "m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jkla rjali"
    },
    {
      "lang": "몽골어",
      "lang_code": "mn",
      "roman": "tsarmyn bürged",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цармын бүргэд"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rrano beltza"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roman": "bérku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беркут"
    },
    {
      "lang": "북부사미어",
      "lang_code": "se",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goaskin"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roman": "skálem oré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скален орел"
    },
    {
      "lang": "브레통어",
      "lang_code": "b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erer meur"
    },
    {
      "lang": "상소르브어",
      "lang_code": "hsb",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planinski orel"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златаш"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raw_tags": [
        "키릴"
      ],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црни орао"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zlataš"
    },
    {
      "lang": "세르보크로아트어",
      "lang_code": "sh",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Latin"
      ],
      "word": "crni orao"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eningsearn"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tai-mfalme"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tai wa dhahabu"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ungsörn"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iolair-bhuidhe"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ol skalný"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el skalni"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ʿuqāb ḏahabiyy",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عقاب ذهبي"
    },
    {
      "lang": "아바르어",
      "lang_code": "av",
      "roman": "qʷekcʼum",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хъвекцӀум"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gullörn"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iolar fíréan"
    },
    {
      "lang": "아제르바이잔어",
      "lang_code": "az",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berqut"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shqiponja e malit"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aljukotkas"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águila real"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reĝa agl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golden eagle"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roman": "berkú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беркут"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eryr euraid"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roman": "inuwashi",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quila reale"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jīndiā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金雕"
    },
    {
      "lang": "체첸어",
      "lang_code": "ce",
      "roman": "cʼoq-ärzu",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цӀокъ-аьрзу"
    },
    {
      "lang": "체첸어",
      "lang_code": "ce",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дарта"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el skalní"
    },
    {
      "lang": "카바르딘어",
      "lang_code": "kbd",
      "roman": "bʁɑ",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гъэ"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roman": "bürki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үркіт"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àguila daurada"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àguila reial"
    },
    {
      "lang": "키르기스어",
      "lang_code": "ky",
      "roman": "bürkü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үркүт"
    },
    {
      "lang": "타타르어",
      "lang_code": "tt",
      "raw_tags": [
        "키릴"
      ],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бөркет"
    },
    {
      "lang": "타타르어",
      "lang_code": "t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Latin"
      ],
      "word": "börket"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aya kartalı"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ltın kartal"
    },
    {
      "lang": "투르크멘어",
      "lang_code": "tk",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bürgüt"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kongaørn"
    },
    {
      "lang": "페르시아어",
      "lang_code": "fa",
      "roman": "oqâb-e talâyi",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عقاب طلایی"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feminine"
      ],
      "word": "águia-real"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orzeł przedni"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aigle royal"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maakotka"
    },
    {
      "lang": "하와이어",
      "lang_code": "haw",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aeko kul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수리과의 새.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 북아메리카에 서식한다. 멸종위기를 맞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미국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
      "word": "szirti sas"
    }
  ],
  "word": "검독수리"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검독수리 meaning in 한국어 (22.7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1-31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20 using wiktextract (bcd5c38 and 9dbd323).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