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다리 on Wiktionary
{ "etymology_texts": [ "19세기 정헌영해처감록(靜軒瀛海處坎錄)에 기록된 달(達)+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는 설. 당시 제주에서는 죄인이나 천한 사람을 부를 때 달(達)을 붙였으며, 殺人達 (“살인한 자”), 歸鄕達 (“유배 온 자”), 龍達 (“나병 환자”)를 삼달(三達)이라 칭한 기록이 있다.", "주로 신체 부위 다리(脚)에서 유래하여 신체적 결함이 있는 사람을 지칭하는 데서 의미가 확장된 것으로 보는 설.", "다리(橋)에서 유래하였다는 설." ], "lang": "제주어", "lang_code": "unknown", "pos": "suffix", "pos_title": "접미사", "senses":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 "id": "ko--다리-unknown-suffix-Y6YeEt2G"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6, 9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2, 4 ] ], "text": "ᄀᆞᆸᄀᆞᆸ-다리", "translation": "고집쟁이" }, { "bold_text_offsets": [ [ 4, 7 ] ], "text": "ᄒᆞᆷ세-다리", "translation": "보채는 아이"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성격, 생각, 버릇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함." ], "id": "ko--다리-unknown-suffix-L~1SZCh5"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4, 7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3, 5 ] ], "text": "ᄂᆞᆯ렌-다리", "translation": "날쌘 사람"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3, 5 ] ], "text": "둔충-다리", "translation": "둔한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방식의 행동을 하는 사람의 뜻을 더함." ], "id": "ko--다리-unknown-suffix-slFZiE~u"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8, 10 ], [ 11, 13 ] ], "text": "갈튀-다리", "translation": "다리가 불편한 사람/짐승"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신체적 특징이나 결함을 가진 사람 또는 짐승의 뜻을 더함." ], "id": "ko--다리-unknown-suffix-WXnjDEFY"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제주어 고어",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1, 4 ] ], "text": "공-다리", "translation": "관원 또는 침술사"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직업에 종사하거나 전문 기술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함." ], "id": "ko--다리-unknown-suffix-bjs2~gtD", "tags": [ "archaic" ]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8, 10 ] ], "text": "팻벵-다리", "translation": "폐결핵을 지닌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질병을 앓는 사람의 뜻을 더함." ], "id": "ko--다리-unknown-suffix-El5hJ~wJ"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7, 9 ] ], "text": "식충-다리", "translation": "밥만 축내는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식탐이 강하거나 먹을 것을 밝히는 사람의 뜻을 더함." ], "id": "ko--다리-unknown-suffix-~WJdfE9u"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제주어 고어",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5, 7 ] ], "text": "귀양-다리", "translation": "귀양 온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처지나 신분에 놓인 사람의 뜻을 더함." ], "id": "ko--다리-unknown-suffix-rJKiG2vk", "tags": [ "archaic" ] } ], "tags": [ "morpheme" ], "word": "-다리" }
{ "etymology_texts": [ "19세기 정헌영해처감록(靜軒瀛海處坎錄)에 기록된 달(達)+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는 설. 당시 제주에서는 죄인이나 천한 사람을 부를 때 달(達)을 붙였으며, 殺人達 (“살인한 자”), 歸鄕達 (“유배 온 자”), 龍達 (“나병 환자”)를 삼달(三達)이라 칭한 기록이 있다.", "주로 신체 부위 다리(脚)에서 유래하여 신체적 결함이 있는 사람을 지칭하는 데서 의미가 확장된 것으로 보는 설.", "다리(橋)에서 유래하였다는 설." ], "lang": "제주어", "lang_code": "unknown", "pos": "suffix", "pos_title": "접미사", "senses":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6, 9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2, 4 ] ], "text": "ᄀᆞᆸᄀᆞᆸ-다리", "translation": "고집쟁이" }, { "bold_text_offsets": [ [ 4, 7 ] ], "text": "ᄒᆞᆷ세-다리", "translation": "보채는 아이"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성격, 생각, 버릇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함."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4, 7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3, 5 ] ], "text": "ᄂᆞᆯ렌-다리", "translation": "날쌘 사람"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3, 5 ] ], "text": "둔충-다리", "translation": "둔한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방식의 행동을 하는 사람의 뜻을 더함."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8, 10 ], [ 11, 13 ] ], "text": "갈튀-다리", "translation": "다리가 불편한 사람/짐승"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신체적 특징이나 결함을 가진 사람 또는 짐승의 뜻을 더함."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제주어 고어"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1, 4 ] ], "text": "공-다리", "translation": "관원 또는 침술사"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직업에 종사하거나 전문 기술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함." ], "tags": [ "archaic"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8, 10 ] ], "text": "팻벵-다리", "translation": "폐결핵을 지닌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질병을 앓는 사람의 뜻을 더함."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7, 9 ] ], "text": "식충-다리", "translation": "밥만 축내는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식탐이 강하거나 먹을 것을 밝히는 사람의 뜻을 더함."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제주어 낱말", "제주어 고어"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2, 5 ] ], "bold_translation_offsets": [ [ 5, 7 ] ], "text": "귀양-다리", "translation": "귀양 온 사람" } ], "glosses": [ "(주로 명사나 용언의 어근 뒤에 붙어) '그러한 속성, 상태, 행동, 직업, 질병 등을 가진 사람'의 뜻을 더하는 인칭 파생 접미사.", "특정한 처지나 신분에 놓인 사람의 뜻을 더함." ], "tags": [ "archaic" ] } ], "tags": [ "morpheme" ], "word": "-다리"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다리 meaning in All languages combined (4.3kB)
{ "called_from": "ko/page/63", "msg": "unknown title: 용법", "path": [ "-다리" ], "section": "제주어", "subsection": "", "title": "-다리", "trace": "" }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All languages combined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9-26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9-20 using wiktextract (fc15ba6 and 1ab82da).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