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싀다 on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옛말 형용사",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싀다(15~19세기) → 시다 (20세기~). 현대 국어 ‘시다’의 옛말인 ‘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 이중모음 ‘ㅢ’가 자음 뒤에서 ‘ㅣ’로 변하여 ‘시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일본어 酢/す(“식초”), 酸い/すい (“시다”)와 관련성이 있다." ], "lang": "중세 한국어", "lang_code": "unknown", "pos": "adj", "pos_title": "형용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셔울셔 이 보면 비치 업스리니 블근 나치 싀오 로 오직 제 아니라.≪두시-초 15:21≫" }, { "text": "원문: 京華應見無顔色, 紅顆酸甛只自知." }, { "text": "번역: 서울에서 응당이 보면 빛이 없으리니 붉은 낯이 시고 단 것을 오직 제가 안다." }, { "text": "이티 다 알며 며 싀며 며 淡며 며 온 等 맛과.≪능엄 5:37≫" }, { "text": "원문: 如是悉知, 苦醋鹹淡甘辛等味." }, { "text": "번역: 이 같이 다 알며 쓰며 시며 짜며 싱거우며 달며 매운 맛과." }, { "text": "싄 것 것 비린 것 누린 것 먹디 말오.≪번박 상:55≫" }, { "text": "원문: 休喫酸甛醒葷等物." }, { "text": "번역: 신 것, 단 것, 비린 것, 누린 것들을 먹지 말고." }, { "text": "酸 싈 산.≪신합 상:10≫" } ], "glosses": [ "맛이 시다." ], "id": "ko-싀다-unknown-adj-1HOwZjXp" }, { "examples": [ { "text": "禽獸ㅣ 울며 고히 싀며 입시우리 저즈며 다 얼굴와 다 디 實相 아니니 업스며 妙法 아니니 업서.≪법화 6:68≫" }, { "text": "원문: 禽獸鳴呼, 醭鼻沾唇, 殊形異意, 無非實相, 無非妙法." }, { "text": "번역: 금수가 울며 코가 시며 입술이 젖으며 다른 형상과 다른 뜻이 실상 아닌 것이 없으며 묘법 아닌 것이 없어." }, { "text": "겨틧 사미 고 싀여 며 므를 슷디 아니리 업스며.≪내훈 3:35≫" }, { "text": "원문: 哀動傍人, 莫不爲酸鼻揮涕." }, { "text": "번역: 곁의 사람이 코를 시큰해 하며 눈물을 씻지 않을 사람 없으며." }, { "text": "酸物倒牙 니 싀다.≪한청 12:49≫" } ], "glosses": [ "코, 이 따위가 시큰하다." ], "id": "ko-싀다-unknown-adj-fL3bDm8N" } ], "word": "싀다" }
{ "categories": [ "한국어 옛말 형용사" ], "etymology_texts": [ "싀다(15~19세기) → 시다 (20세기~). 현대 국어 ‘시다’의 옛말인 ‘싀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에 이중모음 ‘ㅢ’가 자음 뒤에서 ‘ㅣ’로 변하여 ‘시다’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일본어 酢/す(“식초”), 酸い/すい (“시다”)와 관련성이 있다." ], "lang": "중세 한국어", "lang_code": "unknown", "pos": "adj", "pos_title": "형용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셔울셔 이 보면 비치 업스리니 블근 나치 싀오 로 오직 제 아니라.≪두시-초 15:21≫" }, { "text": "원문: 京華應見無顔色, 紅顆酸甛只自知." }, { "text": "번역: 서울에서 응당이 보면 빛이 없으리니 붉은 낯이 시고 단 것을 오직 제가 안다." }, { "text": "이티 다 알며 며 싀며 며 淡며 며 온 等 맛과.≪능엄 5:37≫" }, { "text": "원문: 如是悉知, 苦醋鹹淡甘辛等味." }, { "text": "번역: 이 같이 다 알며 쓰며 시며 짜며 싱거우며 달며 매운 맛과." }, { "text": "싄 것 것 비린 것 누린 것 먹디 말오.≪번박 상:55≫" }, { "text": "원문: 休喫酸甛醒葷等物." }, { "text": "번역: 신 것, 단 것, 비린 것, 누린 것들을 먹지 말고." }, { "text": "酸 싈 산.≪신합 상:10≫" } ], "glosses": [ "맛이 시다." ] }, { "examples": [ { "text": "禽獸ㅣ 울며 고히 싀며 입시우리 저즈며 다 얼굴와 다 디 實相 아니니 업스며 妙法 아니니 업서.≪법화 6:68≫" }, { "text": "원문: 禽獸鳴呼, 醭鼻沾唇, 殊形異意, 無非實相, 無非妙法." }, { "text": "번역: 금수가 울며 코가 시며 입술이 젖으며 다른 형상과 다른 뜻이 실상 아닌 것이 없으며 묘법 아닌 것이 없어." }, { "text": "겨틧 사미 고 싀여 며 므를 슷디 아니리 업스며.≪내훈 3:35≫" }, { "text": "원문: 哀動傍人, 莫不爲酸鼻揮涕." }, { "text": "번역: 곁의 사람이 코를 시큰해 하며 눈물을 씻지 않을 사람 없으며." }, { "text": "酸物倒牙 니 싀다.≪한청 12:49≫" } ], "glosses": [ "코, 이 따위가 시큰하다." ] } ], "word": "싀다"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싀다 meaning in All languages combined (2.2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All languages combined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1-13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01 using wiktextract (4ba5975 and 4ed51a5).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