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꿩마농 on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제주어 복합 명사",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꿩 (“꿩”) + 마농 (“부추속의 식물을 총칭하는 말”)." ], "forms": [ { "form": "꿩발" }, { "form": "드르마농" }, { "form": "드릇마농" } ], "lang": "제주어", "lang_code": "unknown",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인용이 포함된 제주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text": "(2018년 9월 13일). 「언치냑은 우리 아바지 식겟날이랏수다」. 『제민일보』.\n잇날엔양 삼마광 꿩마농광 주넹이도 잡아단 ᄑᆞᆯ곡 ᄒᆞ멍 용돈을 버실던 시절이 이섯수게.\n옛날에는 말이에요, 반하랑 달래랑 지네도 잡아다가 팔고 하면서 용돈을 버시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 { "text": "(2019년 4월 4일). 「제줏말 소리가 와랑차랑 ᄒᆞᆫ 봄 뒈어이민 양!」. 『제민일보』.\n밧듸서 꿩마농 파곡, 벗낭서 고장이 털어져가민 제라진 봄이 나멍 고사리철이 뒈어갑주.\n밭에서 달래를 캐고, 벚나무에서 꽃이 떨어져 가면, 제대로 된 봄이 오면서 고사리철이 되어 가지요." } ], "glosses": [ "달래." ], "id": "ko-꿩마농-unknown-noun-S9F0xXg2" } ], "word": "꿩마농" }
{ "categories": [ "제주어 복합 명사" ], "etymology_texts": [ "꿩 (“꿩”) + 마농 (“부추속의 식물을 총칭하는 말”)." ], "forms": [ { "form": "꿩발" }, { "form": "드르마농" }, { "form": "드릇마농" } ], "lang": "제주어", "lang_code": "unknown",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categories": [ "인용이 포함된 제주어 낱말" ], "examples": [ { "text": "(2018년 9월 13일). 「언치냑은 우리 아바지 식겟날이랏수다」. 『제민일보』.\n잇날엔양 삼마광 꿩마농광 주넹이도 잡아단 ᄑᆞᆯ곡 ᄒᆞ멍 용돈을 버실던 시절이 이섯수게.\n옛날에는 말이에요, 반하랑 달래랑 지네도 잡아다가 팔고 하면서 용돈을 버시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 { "text": "(2019년 4월 4일). 「제줏말 소리가 와랑차랑 ᄒᆞᆫ 봄 뒈어이민 양!」. 『제민일보』.\n밧듸서 꿩마농 파곡, 벗낭서 고장이 털어져가민 제라진 봄이 나멍 고사리철이 뒈어갑주.\n밭에서 달래를 캐고, 벚나무에서 꽃이 떨어져 가면, 제대로 된 봄이 오면서 고사리철이 되어 가지요." } ], "glosses": [ "달래." ] } ], "word": "꿩마농"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꿩마농 meaning in All languages combined (1.2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All languages combined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10-09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10-02 using wiktextract (4f87547 and 1ab82da).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