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고 on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det", "pos_title": "관형사", "senses": [ { "examples": [ { "text": "고 녀석 참 귀엽게 생겼구나." }, { "text": "고 어린 게 어떻게 알았을까?" }, { "text": "곧 갈 테니 고 근처에 가 있거라." } ], "glosses": [ "'그'를 낮잡아 이르거나 귀엽게 이르는 말." ], "id": "ko-고-ko-det-OIm377x1", "note": "요, 조"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한자 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한국 사람의 성씨 중 하나." ], "id": "ko-고-ko-noun-1~aK-NOB"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derived":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word": "고가구"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word": "고서적"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word": "고철"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금리"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기압"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품질"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혈압" } ], "etymology_texts": [ "한자 古", "한자 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refix", "pos_title": "접두사", "senses": [ { "glosses": [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 "id": "ko-고-ko-prefix-Jt7Q5qbI" }, { "glosses": [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 "id": "ko-고-ko-prefix-vKjjU-yb"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derived":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word": "생산고"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word": "수출고"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word": "판매고" } ], "etymology_texts": [ "한자 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suffix", "pos_title": "접미사", "senses": [ { "glosses": [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 "id": "ko-고-ko-suffix-62DqAp2Z"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한자 告"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root", "pos_title": "어근", "senses": [ { "glosses": [ "'고하다의 어근." ], "id": "ko-고-ko-root-CwETE~lR"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한자 誥"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root", "pos_title": "어근", "senses": [ { "glosses": [ "'고하다의 어근." ], "id": "ko-고-ko-root-CwETE~lR1"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suffix", "pos_title": "어미", "senses": [ { "examples": [ { "text": "오고 가는 정." }, { "text": "높고 낮은 산봉우리." }, { "text": "여름에는 비가 내리고 겨울에는 눈이 내린다." }, { "text": "물이 맑고 차다." }, { "text": "나는 먼저 한국인이고 그 다음에 예술가이다." }, { "text": "원한이 쌓이고 또 쌓였다." }, { "text": "떡도 먹었고 고기도 먹었다." }, { "text": "그 아이가 형이겠고 이 아이가 동생이겠다." } ], "glosses": [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리-’, ‘-더-’를 제외한 다른 어미 뒤에 붙어)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대등하게 벌여 놓는 연결 어미." ], "id": "ko-고-ko-suffix-Ja7rWoCv"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11, 12 ] ], "text": "나는 상한 음식을 먹고 배탈이 났다." }, { "bold_text_offsets": [ [ 16, 17 ] ], "text": "오빠는 나에게 얼른 눈짓을 하고는 나가 버렸다." }, { "bold_text_offsets": [ [ 11, 12 ] ], "text": "동생은 여행을 다녀오고부터 사람이 달라졌다." } ], "glosses": [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뒤 절의 두 사실 간에 계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id": "ko-고-ko-suffix-soxiDz9b" }, { "examples": [ { "text": "어머니는 나를 업고 병원까지 달려가셨다." }, { "text": "언니는 오늘 새 옷을 입고 출근했다." }, { "text": "선생님께서는 내 손을 쥐시고 말씀하셨다." } ], "glosses": [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 절의 동작이 이루어진 그대로 지속되는 가운데 뒤 절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id": "ko-고-ko-suffix-DDWreY-J" }, { "examples": [ { "text": "누가 우등생이었고 누가 열등생이었고 간에 서로 친하게 지내도록 하여라." }, { "text": "실성한 사람처럼 울고 웃고 하더라." }, { "text": "누가 잘했고 못했고가 문제가 아니다." }, { "text": "써 보지도 않고 좋고 나쁘고를 알 수 있나?" } ], "glosses": [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리-’, ‘-더-’를 제외한 다른 어미 뒤에 붙어) 서로 뜻이 대립되는 말을 벌여 놓는 연결 어미. ‘하다’의 선행 형식이 되게 하거나 명사적으로 쓰이도록 한다." ], "id": "ko-고-ko-suffix-e~Yv29sh" }, { "examples": [ { "text": "길고 긴 세월." }, { "text": "멀고 먼 고향." }, { "text": "넓고 넓은 하늘." } ], "glosses": [ "(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형용사 어간을 반복하여 그 뜻을 강조하는 연결 어미. 흔히 ‘-고 -은’ 구성으로 쓴다." ], "id": "ko-고-ko-suffix-WDABevfi" }, { "examples": [ { "text": "천년만년 살고 지고." }, { "text": "너 아직도 울고 있구나." }, { "bold_text_offsets": [ [ 9, 10 ] ], "sounds": [ { "audio": "누가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까?.ogg", "mp3_url":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ranscoded/d/d0/누가_자전거를_타고_있습니까?.ogg/누가_자전거를_타고_있습니까?.ogg.mp3", "ogg_url": "https://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누가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까?.ogg" } ], "text": "누가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까?" }, { "text": "나는 금강산을 보고 싶다." }, { "text": "숙제부터 하고 나서 놀아라." }, { "text": "밥을 먹고 나니 힘이 솟는다." }, { "text": "치료비 걱정은 말고 우선 사람부터 살리고 봅시다." }, { "text": "너도 그 사람 이야기를 듣고 보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 { "text": "사람들은 그 말을 듣고 웃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 { "text": "자꾸 따지고 들지 마라." }, { "text": "선배라고 아주 후배를 잡으려고 드는구나." } ], "glosses": [ "(‘-고 있다’, ‘-고 싶다’, ‘-고 지고’, ‘-고 나다’, ‘-고 보다’, ‘-고 보니’, ‘-고 보면’, ‘-고 말다’, ‘-고 들다’ 등 보조 용언이 있는 구성에서) 본용언에 붙는 연결 어미." ], "id": "ko-고-ko-suffix-rJHonBOw"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1. 대등", "word": "an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an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then"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since"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after"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an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3. 지속", "word": "ing" }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article", "pos_title": "조사", "senses": [ { "glosses": [ "(종결 어미 '-다, -냐, -라, -자, -마' 따위 뒤에 붙어) 앞말이 간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낸다." ], "id": "ko-고-ko-particle-o16tB3la"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유니코드 Hangul Syllables",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표준어 관형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표준어 어근",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단일어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단일어접두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단일어접미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부사격 조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성씨",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연결어미",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인명",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자립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조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한자 독음",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article", "pos_title": "격조사", "senses": [ { "glosses": [ "(종결 어미 '-다, -냐, -라, -마, -자' 따위 뒤에 붙어) 앞말이 간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조사." ], "id": "ko-고-ko-particle-KEnY4L1E"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det", "pos_title": "관형사", "senses": [ { "examples": [ { "text": "고 녀석 참 귀엽게 생겼구나." }, { "text": "고 어린 게 어떻게 알았을까?" }, { "text": "곧 갈 테니 고 근처에 가 있거라." } ], "glosses": [ "'그'를 낮잡아 이르거나 귀엽게 이르는 말." ], "note": "요, 조"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etymology_texts": [ "한자 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한국 사람의 성씨 중 하나."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derived":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word": "고가구"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word": "고서적"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word": "고철"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금리"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기압"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품질"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word": "고혈압" } ], "etymology_texts": [ "한자 古", "한자 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refix", "pos_title": "접두사", "senses": [ { "glosses": [ "(일부 명사에 붙어) '오래된' 또는 '낡은'의 뜻을 더한다." ] }, { "glosses": [ "(일부 명사에 붙어) '높은' 또는 '훌륭한'의 뜻을 더한다."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derived":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word": "생산고"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word": "수출고" }, { "sense":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word": "판매고" } ], "etymology_texts": [ "한자 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suffix", "pos_title": "접미사", "senses": [ { "glosses": [ "(일부 명사에 붙어) '양' 또는 '액수'의 뜻을 더한다."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etymology_texts": [ "한자 告"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root", "pos_title": "어근", "senses": [ { "glosses": [ "'고하다의 어근."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etymology_texts": [ "한자 誥"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root", "pos_title": "어근", "senses": [ { "glosses": [ "'고하다의 어근."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suffix", "pos_title": "어미", "senses": [ { "examples": [ { "text": "오고 가는 정." }, { "text": "높고 낮은 산봉우리." }, { "text": "여름에는 비가 내리고 겨울에는 눈이 내린다." }, { "text": "물이 맑고 차다." }, { "text": "나는 먼저 한국인이고 그 다음에 예술가이다." }, { "text": "원한이 쌓이고 또 쌓였다." }, { "text": "떡도 먹었고 고기도 먹었다." }, { "text": "그 아이가 형이겠고 이 아이가 동생이겠다." } ], "glosses": [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리-’, ‘-더-’를 제외한 다른 어미 뒤에 붙어) 두 가지 이상의 사실을 대등하게 벌여 놓는 연결 어미." ] }, { "examples": [ { "bold_text_offsets": [ [ 11, 12 ] ], "text": "나는 상한 음식을 먹고 배탈이 났다." }, { "bold_text_offsets": [ [ 16, 17 ] ], "text": "오빠는 나에게 얼른 눈짓을 하고는 나가 버렸다." }, { "bold_text_offsets": [ [ 11, 12 ] ], "text": "동생은 여행을 다녀오고부터 사람이 달라졌다." } ], "glosses": [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뒤 절의 두 사실 간에 계기적인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 { "examples": [ { "text": "어머니는 나를 업고 병원까지 달려가셨다." }, { "text": "언니는 오늘 새 옷을 입고 출근했다." }, { "text": "선생님께서는 내 손을 쥐시고 말씀하셨다." } ], "glosses": [ "(동사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앞 절의 동작이 이루어진 그대로 지속되는 가운데 뒤 절의 동작이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 }, { "examples": [ { "text": "누가 우등생이었고 누가 열등생이었고 간에 서로 친하게 지내도록 하여라." }, { "text": "실성한 사람처럼 울고 웃고 하더라." }, { "text": "누가 잘했고 못했고가 문제가 아니다." }, { "text": "써 보지도 않고 좋고 나쁘고를 알 수 있나?" } ], "glosses": [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리-’, ‘-더-’를 제외한 다른 어미 뒤에 붙어) 서로 뜻이 대립되는 말을 벌여 놓는 연결 어미. ‘하다’의 선행 형식이 되게 하거나 명사적으로 쓰이도록 한다." ] }, { "examples": [ { "text": "길고 긴 세월." }, { "text": "멀고 먼 고향." }, { "text": "넓고 넓은 하늘." } ], "glosses": [ "(일부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형용사 어간을 반복하여 그 뜻을 강조하는 연결 어미. 흔히 ‘-고 -은’ 구성으로 쓴다." ] }, { "examples": [ { "text": "천년만년 살고 지고." }, { "text": "너 아직도 울고 있구나." }, { "bold_text_offsets": [ [ 9, 10 ] ], "sounds": [ { "audio": "누가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까?.ogg", "mp3_url":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ranscoded/d/d0/누가_자전거를_타고_있습니까?.ogg/누가_자전거를_타고_있습니까?.ogg.mp3", "ogg_url": "https://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누가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까?.ogg" } ], "text": "누가 자전거를 타고 있습니까?" }, { "text": "나는 금강산을 보고 싶다." }, { "text": "숙제부터 하고 나서 놀아라." }, { "text": "밥을 먹고 나니 힘이 솟는다." }, { "text": "치료비 걱정은 말고 우선 사람부터 살리고 봅시다." }, { "text": "너도 그 사람 이야기를 듣고 보면 생각이 달라질 것이다." }, { "text": "사람들은 그 말을 듣고 웃음을 터뜨리고 말았다." }, { "text": "자꾸 따지고 들지 마라." }, { "text": "선배라고 아주 후배를 잡으려고 드는구나." } ], "glosses": [ "(‘-고 있다’, ‘-고 싶다’, ‘-고 지고’, ‘-고 나다’, ‘-고 보다’, ‘-고 보니’, ‘-고 보면’, ‘-고 말다’, ‘-고 들다’ 등 보조 용언이 있는 구성에서) 본용언에 붙는 연결 어미."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morpheme"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1. 대등", "word": "an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an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then"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since"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after"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2. 계기", "word": "an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3. 지속", "word": "ing" } ], "word": "고"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article", "pos_title": "조사", "senses": [ { "glosses": [ "(종결 어미 '-다, -냐, -라, -자, -마' 따위 뒤에 붙어) 앞말이 간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낸다."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 "categories": [ "유니코드 Hangul Syllables", "표준어 관형사", "표준어 어근",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단일어명사", "한국어 단일어접두사", "한국어 단일어접미사", "한국어 부사격 조사", "한국어 성씨", "한국어 연결어미", "한국어 인명", "한국어 자립명사", "한국어 조사", "한국어 한자 독음"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article", "pos_title": "격조사", "senses": [ { "glosses": [ "(종결 어미 '-다, -냐, -라, -마, -자' 따위 뒤에 붙어) 앞말이 간접 인용 되는 말임을 나타내는 격조사." ] } ], "sounds": [ { "ipa": "[ko̞]",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고]"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o",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o",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고"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고 meaning in All languages combined (11.1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All languages combined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7-19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7-02 using wiktextract (45c4a21 and f1c2b61).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