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唯 on Wiktionary
{ "derived":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唯諾諾"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獨"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名論"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物"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美"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心"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我"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一"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識論"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識宗"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character", "pos_title": "형태소", "senses": [ { "glosses": [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 "id": "ko-唯-ko-character-ps0talKr" } ], "word": "唯"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roverb", "pos_title": "옛말", "senses": [ { "glosses": [ "나루를 뜻하는 고구려어." ], "id": "ko-唯-ko-proverb--Ei5-nac" } ], "sounds": [ { "ipa": "jwi" } ], "tags": [ "archaic" ], "word": "唯" } { "lang": "일본어", "lang_code": "ja", "pos": "stem", "pos_title": "어간", "senses": [ { "glosses": [ "어간의 하나." ], "id": "ko-唯-ja-stem-KDA7vusr" } ], "sounds": [ { "ipa": "i/jɯi", "raw_tags": [ "온요미" ] }, { "ipa": "tada", "raw_tags": [ "쿤요미" ] } ], "word": "唯"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adv", "pos_title": "부사", "senses": [ { "examples": [ { "ref": "1614년, 이수광, 《지봉유설》, 〈2권 外國 條〉", "text": "唯驩演人淳秀好學", "translation": "오직 환주(驩州)·연주(演州) 사람들만이 순박하고 빼어나며 학문을 좋아한다." }, { "text": "2. 비록 ~하더라도" }, { "text": "3. 때문에" }, { "text": "4. 바라건대" }, { "ref": "3세기, 진수,《삼국지》, 〈권06 위서 동이원류전 (魏書 董二袁劉傳)〉", "text": "常侍、黃門聞之,皆詣進謝,唯所錯置。", "translation": "상시, 황문이 이를 듣고, 모두 나아가 사죄하며, 조치하는 바를 바랬다." } ], "glosses": [ "오직, 다만 〔单单;只〕" ], "id": "ko-唯-zh-adv-gsTWz~Aj" } ], "word": "唯"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고구려어",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일본어 간지",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일본어 어간", "parents": [], "source": "w"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verb", "pos_title": "동사", "senses": [ { "glosses": [ "생각하다" ], "id": "ko-唯-zh-verb-b~0BX~TD" }, { "glosses": [ "대답하다." ], "id": "ko-唯-zh-verb-ML2lG-DC" } ], "word": "唯" }
{ "lang": "일본어", "lang_code": "ja", "pos": "stem", "pos_title": "어간", "senses": [ { "glosses": [ "어간의 하나." ] } ], "sounds": [ { "ipa": "i/jɯi", "raw_tags": [ "온요미" ] }, { "ipa": "tada", "raw_tags": [ "쿤요미" ] } ], "word": "唯"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adv", "pos_title": "부사", "senses": [ { "examples": [ { "ref": "1614년, 이수광, 《지봉유설》, 〈2권 外國 條〉", "text": "唯驩演人淳秀好學", "translation": "오직 환주(驩州)·연주(演州) 사람들만이 순박하고 빼어나며 학문을 좋아한다." }, { "text": "2. 비록 ~하더라도" }, { "text": "3. 때문에" }, { "text": "4. 바라건대" }, { "ref": "3세기, 진수,《삼국지》, 〈권06 위서 동이원류전 (魏書 董二袁劉傳)〉", "text": "常侍、黃門聞之,皆詣進謝,唯所錯置。", "translation": "상시, 황문이 이를 듣고, 모두 나아가 사죄하며, 조치하는 바를 바랬다." } ], "glosses": [ "오직, 다만 〔单单;只〕" ] } ], "word": "唯" } { "categories": [ "고구려어", "일본어 간지", "일본어 어간"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verb", "pos_title": "동사", "senses": [ { "glosses": [ "생각하다" ] }, { "glosses": [ "대답하다." ] } ], "word": "唯" } { "derived":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唯諾諾"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獨"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名論"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物"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美"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心"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我"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一"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識論" }, { "sense":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word": "唯識宗"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character", "pos_title": "형태소", "senses": [ { "glosses": [ "‘오직’ 등을 뜻하는 합성어를 이루는 형태소의 한자 표기" ] } ], "word": "唯"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proverb", "pos_title": "옛말", "senses": [ { "glosses": [ "나루를 뜻하는 고구려어." ] } ], "sounds": [ { "ipa": "jwi" } ], "tags": [ "archaic" ], "word": "唯"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唯 meaning in All languages combined (2.8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All languages combined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1-10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01 using wiktextract (df33d17 and 4ed51a5).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