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侵攻 on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3개의 항목이 있는 문서",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복된 문자 체계 코드가 있는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기본형",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중복되지 않는 수동 정렬 키를 포함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항목이 있는 문서",
"parents": [],
"source": "w"
}
],
"forms": [
{
"form": "chimgong",
"tags": [
"romanization"
]
},
{
"form": "침공"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한자 표기",
"parents": [],
"source": "w"
}
],
"glosses": [
"침공의 한자 표기"
],
"id": "ko-侵攻-ko-noun-QNS0hlPW",
"tags": [
"form-of"
]
}
],
"word": "侵攻"
}
{
"lang": "일본어",
"lang_code": "ja",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ruby": [
[
"英仏",
"えいふつ"
],
[
"間",
"かん"
],
[
"交流",
"こうりゅう"
],
[
"侵攻",
"しんこう"
],
[
"以前",
"いぜん"
],
[
"両国",
"りょうこく"
],
[
"共通",
"きょうつう"
],
[
"敵",
"てき"
],
[
"古代",
"こだい"
],
[
"戦",
"たたか"
],
[
"人",
"じん"
],
[
"取引",
"とりひき"
],
[
"通",
"とお"
],
[
"生活",
"せいかつ"
],
[
"国",
"くに"
],
[
"人々",
"ひとびと"
],
[
"始",
"はじ"
],
[
"彼",
"かれ"
],
[
"帝政",
"ていせい"
],
[
"統治",
"とうち"
],
[
"下",
"した"
],
[
"取引",
"とりひき"
],
[
"継続",
"けいぞく"
]
],
"text": "英仏間の交流はカエサルのガリア侵攻以前、両国の共通の敵であった古代ローマと戦うケルト人との取引を通して生活していた2カ国の人々から始まり、彼らは帝政ローマの統治下でも(取引を)継続した。",
"translation": "영불 간의 교류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침공 이전에, 양국의 공통의 적이었던 고대 로마와 전쟁을 벌인 게르만족과의 거래를 통하여 생활하였던 두 나라의 사람들로부터 시작되어, 그들은 제정 로마의 통치하에서도 거래를 계속하였다."
}
],
"glosses": [
"침공."
],
"id": "ko-侵攻-ja-noun-yFVWKDOr"
}
],
"sounds": [
{
"ipa": "ɕiŋkoː"
}
],
"word": "侵攻"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광둥어",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일본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일본어 한자어",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국어 동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verb",
"pos_title": "동사",
"senses": [
{
"glosses": [
"침공하다."
],
"id": "ko-侵攻-zh-verb-bQRNAjy8"
}
],
"word": "侵攻"
}
{
"lang": "일본어",
"lang_code": "ja",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ruby": [
[
"英仏",
"えいふつ"
],
[
"間",
"かん"
],
[
"交流",
"こうりゅう"
],
[
"侵攻",
"しんこう"
],
[
"以前",
"いぜん"
],
[
"両国",
"りょうこく"
],
[
"共通",
"きょうつう"
],
[
"敵",
"てき"
],
[
"古代",
"こだい"
],
[
"戦",
"たたか"
],
[
"人",
"じん"
],
[
"取引",
"とりひき"
],
[
"通",
"とお"
],
[
"生活",
"せいかつ"
],
[
"国",
"くに"
],
[
"人々",
"ひとびと"
],
[
"始",
"はじ"
],
[
"彼",
"かれ"
],
[
"帝政",
"ていせい"
],
[
"統治",
"とうち"
],
[
"下",
"した"
],
[
"取引",
"とりひき"
],
[
"継続",
"けいぞく"
]
],
"text": "英仏間の交流はカエサルのガリア侵攻以前、両国の共通の敵であった古代ローマと戦うケルト人との取引を通して生活していた2カ国の人々から始まり、彼らは帝政ローマの統治下でも(取引を)継続した。",
"translation": "영불 간의 교류는 카이사르의 갈리아 침공 이전에, 양국의 공통의 적이었던 고대 로마와 전쟁을 벌인 게르만족과의 거래를 통하여 생활하였던 두 나라의 사람들로부터 시작되어, 그들은 제정 로마의 통치하에서도 거래를 계속하였다."
}
],
"glosses": [
"침공."
]
}
],
"sounds": [
{
"ipa": "ɕiŋkoː"
}
],
"word": "侵攻"
}
{
"categories": [
"광둥어",
"일본어 명사",
"일본어 한자어",
"중국어 동사",
"중국어 명사"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verb",
"pos_title": "동사",
"senses": [
{
"glosses": [
"침공하다."
]
}
],
"word": "侵攻"
}
{
"categories": [
"3개의 항목이 있는 문서",
"중복된 문자 체계 코드가 있는 한국어 낱말",
"한국어 기본형",
"한국어 명사",
"한국어 중복되지 않는 수동 정렬 키를 포함한 낱말",
"항목이 있는 문서"
],
"forms": [
{
"form": "chimgong",
"tags": [
"romanization"
]
},
{
"form": "침공"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categories": [
"한국어 한자 표기"
],
"glosses": [
"침공의 한자 표기"
],
"tags": [
"form-of"
]
}
],
"word": "侵攻"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侵攻 meaning in All languages combined (2.1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All languages combined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11-20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11-02 using wiktextract (2f66b98 and a050b89).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