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문" meaning in 한국어

See 황문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Noun

IPA: [ɸwa̠ŋmun] [SK-Standard, Seoul]
  1. 황궁. 진(秦)나라, 한(漢)나라 때 천자(天子)의 궁문(宮門)을 황색으로 칠한 것에서 유래함.
    Sense id: ko-황문-ko-noun-6ktYzmT0
  2.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Sense id: ko-황문-ko-noun-iZWcTl~Y
  3.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고려(高麗) 때는 성중관(成衆官)의 하나로서, 처음에는 권세(權勢) 있는 집안의 자제(子弟)나 문과(文科) 출신(出身)으로 재능이 있고 용모가 뛰어난 자를 시켰다.
    Sense id: ko-황문-ko-noun-dBEIP04d
  4.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고려(高麗) 말엽(末葉) 의종 이후, 조선(朝鮮) 시대(時代)에는 내시부에 속하여 거세한 남자(男子)들이었다.
    Sense id: ko-황문-ko-noun-0v3Tq4GS
  5. 거세(去勢)를 당한 남자
    Sense id: ko-황문-ko-noun-8fcegQ4B
The following are not (yet) sense-disambiguated
Categories (other):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Synonyms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내관, 內官, 내수, 內豎, 내시, 內侍, 내환, 內宦, 노공, 老公, 시인, 寺人, 엄관, 閹官, 엄수, 閹豎, 엄시, 閹寺, 엄환, 閹宦, 중관, 中官, 총환, 寵宦, 폐환, 嬖宦, 혼시, 閽寺, 환관, 宦官, 환부, 宦夫, 환시, 宦侍, 환자, 宦者

Noun

IPA: [ɸwa̠ŋmun] [SK-Standard, Seoul]
  1. 예전에, 황궁의 문을 이르던 말.
    Sense id: ko-황문-ko-noun-a66fUBbq
  2. 예전에, 황족의 문중을 이르던 말.
    Sense id: ko-황문-ko-noun-eldNbtAd
The following are not (yet) sense-disambiguated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한자 黃門"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황궁. 진(秦)나라, 한(漢)나라 때 천자(天子)의 궁문(宮門)을 황색으로 칠한 것에서 유래함."
      ],
      "id": "ko-황문-ko-noun-6ktYzmT0"
    },
    {
      "glosses": [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
      "id": "ko-황문-ko-noun-iZWcTl~Y"
    },
    {
      "glosses": [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고려(高麗) 때는 성중관(成衆官)의 하나로서, 처음에는 권세(權勢) 있는 집안의 자제(子弟)나 문과(文科) 출신(出身)으로 재능이 있고 용모가 뛰어난 자를 시켰다."
      ],
      "id": "ko-황문-ko-noun-dBEIP04d"
    },
    {
      "glosses": [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고려(高麗) 말엽(末葉) 의종 이후, 조선(朝鮮) 시대(時代)에는 내시부에 속하여 거세한 남자(男子)들이었다."
      ],
      "id": "ko-황문-ko-noun-0v3Tq4GS"
    },
    {
      "glosses": [
        "거세(去勢)를 당한 남자"
      ],
      "id": "ko-황문-ko-noun-8fcegQ4B"
    }
  ],
  "sounds": [
    {
      "ipa": "[ɸwa̠ŋmun]",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황문]"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hwangmun",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豎"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侍"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노공"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老公"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시인"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寺人"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豎"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寺"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중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中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총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寵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폐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嬖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혼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閽寺"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夫"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侍"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자"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者"
    }
  ],
  "word": "황문"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단일어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자립명사",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한자 皇門"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예전에, 황궁의 문을 이르던 말."
      ],
      "id": "ko-황문-ko-noun-a66fUBbq"
    },
    {
      "glosses": [
        "예전에, 황족의 문중을 이르던 말."
      ],
      "id": "ko-황문-ko-noun-eldNbtAd"
    }
  ],
  "sounds": [
    {
      "ipa": "[ɸwa̠ŋmun]",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황문]"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hwangmun",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황문"
}
{
  "categories": [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
  "etymology_texts": [
    "한자 黃門"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황궁. 진(秦)나라, 한(漢)나라 때 천자(天子)의 궁문(宮門)을 황색으로 칠한 것에서 유래함."
      ]
    },
    {
      "glosses": [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
    },
    {
      "glosses": [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고려(高麗) 때는 성중관(成衆官)의 하나로서, 처음에는 권세(權勢) 있는 집안의 자제(子弟)나 문과(文科) 출신(出身)으로 재능이 있고 용모가 뛰어난 자를 시켰다."
      ]
    },
    {
      "glosses": [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고려(高麗) 말엽(末葉) 의종 이후, 조선(朝鮮) 시대(時代)에는 내시부에 속하여 거세한 남자(男子)들이었다."
      ]
    },
    {
      "glosses": [
        "거세(去勢)를 당한 남자"
      ]
    }
  ],
  "sounds": [
    {
      "ipa": "[ɸwa̠ŋmun]",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황문]"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hwangmun",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豎"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侍"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내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內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노공"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老公"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시인"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寺人"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豎"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寺"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엄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閹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중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中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총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寵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폐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嬖宦"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혼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閽寺"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官"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부"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夫"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시"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侍"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환자"
    },
    {
      "sense": "궁중(宮中)에서 임금의 시중을 들거나 숙직(宿直) 따위의 일을 담당한 관원.",
      "word": "宦者"
    }
  ],
  "word": "황문"
}

{
  "categories": [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한국어 단일어명사",
    "한국어 자립명사"
  ],
  "etymology_texts": [
    "한자 皇門"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예전에, 황궁의 문을 이르던 말."
      ]
    },
    {
      "glosses": [
        "예전에, 황족의 문중을 이르던 말."
      ]
    }
  ],
  "sounds": [
    {
      "ipa": "[ɸwa̠ŋmun]",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황문]"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hwangmun",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hwangmun",
      "tags": [
        "Yale",
        "romanization"
      ]
    }
  ],
  "word": "황문"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황문 meaning in 한국어 (6.8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8-15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8-02 using wiktextract (fb173d2 and 3c020d2).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