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플루트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표준어 자립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악기",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외래어",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 영어 flute(< 고대 프랑스어 flaute < 고대 프로방스어 flaut)"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 "id": "ko-플루트-ko-noun-SMiXU5pi" } ], "sounds": [ { "ipa": "[pʰɯɭɭutʰɯ]",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플루트]" }, { "roman": "peulluteu",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peulluteu",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ŭllut'ŭ",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hullwu.thu",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고대프랑스어", "lang_code": "fr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eüte"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fláout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neuter" ], "word": "φλάουτο"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archaic" ], "word": "φλάουτο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αὐλός" }, { "lang": "나바호어", "lang_code": "n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tsʼisǫ́ǫ́s"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øyte"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øjt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öt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Querflöte" }, { "lang": "라오어", "lang_code": "lo", "roman": "kʰū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ຂຸ່ຍ"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tībia"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fléjt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neuter" ], "word": "flaut"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eita"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마오리어", "lang_code": "m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tōrino" }, { "lang": "마오리어", "lang_code": "m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pūtōrino" }, { "lang": "마오리어", "lang_code": "m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kōauau"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аута"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aw_tags": [ "구어" ], "roman": "fléjt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јта" }, { "lang": "말라얄람어", "lang_code": "m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ഓടക്കുഴൽ" }, { "lang": "말레이어", "lang_code": "m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eruling" }, { "lang": "말레이어", "lang_code": "m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erunai" }, { "lang": "맨어", "lang_code": "g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maireen" }, { "lang": "몰타어", "lang_code": "m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awt" }, { "lang": "몽골어", "lang_code": "mn",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лимбэ"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auta"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xirula"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áo"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ống sáo"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áo ngang"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kèn Phluýt"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rula"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рул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аут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rula"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Latin" ], "word": "flauta" }, { "lang": "서플라망어", "lang_code": "vl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digali"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öjt"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cuisle-chiùil"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cuislean"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vta"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nā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ناي"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الناي" }, { "lang": "아르메니아어", "lang_code": "hy", "roman": "fleyt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ֆլեյտա" }, { "lang": "아스투리아스어", "lang_code": "as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iúit" }, { "lang": "아제르바이잔어", "lang_code": "az", "raw_tags": [ "키릴" ],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јта" }, { "lang": "아제르바이잔어", "lang_code": "az",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Latin" ], "word": "fleyta" }, { "lang": "아프리칸스어", "lang_code": "af",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ööt"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t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te" }, { "lang": "오리야어", "lang_code": "or", "roman": "baṁśī",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ବଂଶୀ"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æ"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üta" }, { "lang": "우드무르트어", "lang_code": "udm",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우르두어", "lang_code": "ur", "roman": "bānsurī",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بانسری" }, { "lang": "우즈베크어", "lang_code": "uz",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eyta"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fliwt" }, { "lang": "이도", "lang_code": "i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to" }, { "lang": "이디시어", "lang_code": "y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פלייט"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flauto" }, { "lang": "인도네시아어", "lang_code": "id",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uling" }, { "lang": "인터링구아", "lang_code": "ia", "roman": "furūt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aute" }, { "lang": "조지아어", "lang_code": "k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ფლეიტა"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Simplified Chinese" ], "word": "长笛"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chángdí",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Traditional Chinese" ], "word": "長笛" }, { "lang": "차미쿠로어", "lang_code": "ccc",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ajtakli" }, { "lang": "체로키어", "lang_code": "chr", "roman": "atseluhisd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ᎠᏤᎷᎯᏍᏗ"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étna"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сырнай"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칸나다어", "lang_code": "kn", "roman": "koḷal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ಕೊಳಲು" }, { "lang": "코사어", "lang_code": "xh",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ifleyiti" }, { "lang": "콘월어", "lang_code": "kw",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whybonol"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bilûr"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ney"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îq"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bilûl"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rula"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크메르어", "lang_code": "km", "roman": "klo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ខ្លុយ" }, { "lang": "키르기스어", "lang_code": "k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키르기스어", "lang_code": "k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най" }, { "lang": "타갈로그어", "lang_code": "t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plauta" }, { "lang": "타갈로그어", "lang_code": "t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pluta" }, { "lang": "타갈로그어", "lang_code": "t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bansi" }, { "lang": "타밀어", "lang_code": "ta", "roman": "pullaanguzha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புல்லாங்குழல்" }, { "lang": "타이어", "lang_code": "th", "roman": "flú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ฟลุต" }, { "lang": "타이어", "lang_code": "th", "roman": "klù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ขลุ่ย" }, { "lang": "타지크어", "lang_code": "tg",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най"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vaṅś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వంశి"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zurna"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ipsi"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üt" }, { "lang": "투르크멘어", "lang_code": "t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tüýdük"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oyta" }, { "lang": "페르시아어", "lang_code": "f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فلوت"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flet"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ûte"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huilu" }, { "lang": "하우사어", "lang_code": "h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mabuusa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uvol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urulya" }, { "lang": "히브리어", "lang_code": "he", "roman": "khali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חָלִיל" }, { "lang": "힌디어", "lang_code": "h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बंसी" } ], "word": "플루트" }
{ "categories": [ "표준어 자립명사",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악기", "한국어 외래어" ], "etymology_texts": [ "< 영어 flute(< 고대 프랑스어 flaute < 고대 프로방스어 flaut)"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 } ], "sounds": [ { "ipa": "[pʰɯɭɭutʰɯ]",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플루트]" }, { "roman": "peulluteu",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peulluteu",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ŭllut'ŭ",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hullwu.thu",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고대프랑스어", "lang_code": "fr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eüte"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fláout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neuter" ], "word": "φλάουτο"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archaic" ], "word": "φλάουτο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αὐλός" }, { "lang": "나바호어", "lang_code": "n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tsʼisǫ́ǫ́s"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øyte"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øjt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öt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Querflöte" }, { "lang": "라오어", "lang_code": "lo", "roman": "kʰū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ຂຸ່ຍ"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tībia"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fléjt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neuter" ], "word": "flaut"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eita"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마오리어", "lang_code": "m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tōrino" }, { "lang": "마오리어", "lang_code": "m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pūtōrino" }, { "lang": "마오리어", "lang_code": "m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kōauau"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аута"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aw_tags": [ "구어" ], "roman": "fléjt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јта" }, { "lang": "말라얄람어", "lang_code": "m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ഓടക്കുഴൽ" }, { "lang": "말레이어", "lang_code": "m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eruling" }, { "lang": "말레이어", "lang_code": "m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erunai" }, { "lang": "맨어", "lang_code": "g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maireen" }, { "lang": "몰타어", "lang_code": "m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awt" }, { "lang": "몽골어", "lang_code": "mn",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лимбэ"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auta"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xirula"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áo"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ống sáo"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áo ngang"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kèn Phluýt"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rula"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рул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аут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rula"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Latin" ], "word": "flauta" }, { "lang": "서플라망어", "lang_code": "vl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digali"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öjt"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cuisle-chiùil"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cuislean"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vta"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nā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ناي"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الناي" }, { "lang": "아르메니아어", "lang_code": "hy", "roman": "fleyt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ֆլեյտա" }, { "lang": "아스투리아스어", "lang_code": "as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iúit" }, { "lang": "아제르바이잔어", "lang_code": "az", "raw_tags": [ "키릴" ],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јта" }, { "lang": "아제르바이잔어", "lang_code": "az",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Latin" ], "word": "fleyta" }, { "lang": "아프리칸스어", "lang_code": "af",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it"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ööt"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t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te" }, { "lang": "오리야어", "lang_code": "or", "roman": "baṁśī",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ବଂଶୀ"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æ"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üta" }, { "lang": "우드무르트어", "lang_code": "udm",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우르두어", "lang_code": "ur", "roman": "bānsurī",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بانسری" }, { "lang": "우즈베크어", "lang_code": "uz",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eyta"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флейта"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fliwt" }, { "lang": "이도", "lang_code": "i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uto" }, { "lang": "이디시어", "lang_code": "y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פלייט"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flauto" }, { "lang": "인도네시아어", "lang_code": "id",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uling" }, { "lang": "인터링구아", "lang_code": "ia", "roman": "furūt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aute" }, { "lang": "조지아어", "lang_code": "k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ფლეიტა"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Simplified Chinese" ], "word": "长笛"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chángdí",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Traditional Chinese" ], "word": "長笛" }, { "lang": "차미쿠로어", "lang_code": "ccc",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ajtakli" }, { "lang": "체로키어", "lang_code": "chr", "roman": "atseluhisd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ᎠᏤᎷᎯᏍᏗ"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étna"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сырнай"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칸나다어", "lang_code": "kn", "roman": "koḷal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ಕೊಳಲು" }, { "lang": "코사어", "lang_code": "xh",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ifleyiti" }, { "lang": "콘월어", "lang_code": "kw",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whybonol"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bilûr"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ney"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îq" }, { "lang": "쿠르드어", "lang_code": "k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bilûl"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rula"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크메르어", "lang_code": "km", "roman": "klo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ខ្លុយ" }, { "lang": "키르기스어", "lang_code": "k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флейта" }, { "lang": "키르기스어", "lang_code": "ky",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най" }, { "lang": "타갈로그어", "lang_code": "t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plauta" }, { "lang": "타갈로그어", "lang_code": "t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pluta" }, { "lang": "타갈로그어", "lang_code": "t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bansi" }, { "lang": "타밀어", "lang_code": "ta", "roman": "pullaanguzha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புல்லாங்குழல்" }, { "lang": "타이어", "lang_code": "th", "roman": "flú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ฟลุต" }, { "lang": "타이어", "lang_code": "th", "roman": "klù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ขลุ่ย" }, { "lang": "타지크어", "lang_code": "tg",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най"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vaṅś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వంశి"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zurna"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sipsi"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lüt" }, { "lang": "투르크멘어", "lang_code": "tk",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tüýdük"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oyta" }, { "lang": "페르시아어", "lang_code": "f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فلوت"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aut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flet"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feminine" ], "word": "flûte"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huilu" }, { "lang": "하우사어", "lang_code": "ha",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mabuusa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uvol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furulya" }, { "lang": "히브리어", "lang_code": "he", "roman": "khalil",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tags": [ "masculine" ], "word": "חָלִיל" }, { "lang": "힌디어", "lang_code": "hi", "sense": "목관악기의 하나. 옆으로 쥐고 불며 구멍에 입김을 불어넣어 소리를 내는 관악기. 최고 음역의 관악기로, 아름답고 청신한 음색을 지녔으며, 예전에는 흑단 따위를 재료로 만들었으나 현재는 대부분 금속으로 만든다. 한쪽은 막혀 있는 게 특징이다.", "word": "बंसी" } ], "word": "플루트"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플루트 meaning in 한국어 (51.2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2-08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2-02 using wiktextract (f90d964 and 9dbd323).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