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푸른머리되새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조류",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합성어",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 푸른 + 머리 + 되새"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 "id": "ko-푸른머리되새-ko-noun-9bTCIkNt" } ], "sounds": [ { "ipa": "pʰu.rɨn.mə.ri.dø.sɛ / pʰu.rɨn.mə.ri.dwe.sɛ" }, { "ipa": "[pʰuɾɯnmʌ̹ɾidwe̞sʰɛ] ~ [pʰuɾɯnmʌ̹ɾidø̞sʰɛ] ~ [pʰuɾɯnmʌ̹ɾidwe̞sʰe̞] ~ [pʰuɾɯnmʌ̹ɾidø̞sʰe̞]",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푸른머리뒈새/푸른머리되새/푸른머리뒈세/푸른머리되세]" }, { "roman": "pureunmeoridoesae",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puleunmeolidoesae",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urŭnmŏridoaësaë",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hulunmelitoysay",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mpín"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ნიბლია"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archaic" ], "word": "σπίνο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σπίζα" }, { "lang": "나폴리어", "lang_code": "nap",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oncillo"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vink"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ekvink"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kfink"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gfinke"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k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Fink"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žubīte"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illa"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зяблик"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inteză"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kikilis"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okvink"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vink" }, { "lang": "마리어", "lang_code": "chm",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пимба" }, { "lang": "베네토어", "lang_code": "ve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co"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зяблік"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берасцянка" }, { "lang": "북부사미어", "lang_code": "s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eibboš"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чинка" }, { "lang": "브레통어", "lang_code": "b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t"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lineddu"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appadrigu"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appatrigu"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k"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roman": "-; m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mnana"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fink"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reacan-beithe"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ka"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ščinkavec"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bókfink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rí rua" }, { "lang": "아프리칸스어", "lang_code": "af",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gryskoppie"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зяблик"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эриэн кынат"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зяблик"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metsvint"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roman": "vulga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zón"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pinchón"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o"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el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chaffinch"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зяблик"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ji-binc"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asgell fraith" }, { "lang": "이도", "lang_code": "i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ko"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roman": "zuaoator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fringuello"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ěnkava"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пимпĕ" }, { "lang": "카슈브어", "lang_code": "csb",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wiszónk"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sà" }, { "lang": "코르시카어", "lang_code": "c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cionu"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zeba"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ispinoz"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ókígða"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tentilhão"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zięba"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pinson"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angoj"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oj"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eippo"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ty"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erdei pinty" } ], "word": "푸른머리되새"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명사", "한국어 조류", "한국어 합성어" ], "etymology_texts": [ "< 푸른 + 머리 + 되새"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 } ], "sounds": [ { "ipa": "pʰu.rɨn.mə.ri.dø.sɛ / pʰu.rɨn.mə.ri.dwe.sɛ" }, { "ipa": "[pʰuɾɯnmʌ̹ɾidwe̞sʰɛ] ~ [pʰuɾɯnmʌ̹ɾidø̞sʰɛ] ~ [pʰuɾɯnmʌ̹ɾidwe̞sʰe̞] ~ [pʰuɾɯnmʌ̹ɾidø̞sʰe̞]",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푸른머리뒈새/푸른머리되새/푸른머리뒈세/푸른머리되세]" }, { "roman": "pureunmeoridoesae",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puleunmeolidoesae",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urŭnmŏridoaësaë",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hulunmelitoysay",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mpín"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ნიბლია"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archaic" ], "word": "σπίνο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σπίζα" }, { "lang": "나폴리어", "lang_code": "nap",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oncillo"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vink"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ekvink"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kfink"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gfinke"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k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Fink"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žubīte"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illa"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зяблик"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inteză"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kikilis"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okvink"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vink" }, { "lang": "마리어", "lang_code": "chm",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пимба" }, { "lang": "베네토어", "lang_code": "ve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co"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зяблік"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берасцянка" }, { "lang": "북부사미어", "lang_code": "se",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eibboš"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чинка" }, { "lang": "브레통어", "lang_code": "b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t"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lineddu"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appadrigu"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appatrigu"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k"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roman": "-; m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mnana"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ofink"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reacan-beithe"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ka"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ščinkavec"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bókfink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rí rua" }, { "lang": "아프리칸스어", "lang_code": "af",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gryskoppie"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зяблик"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эриэн кынат"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зяблик"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metsvint"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roman": "vulga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zón"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pinchón"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o"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el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chaffinch"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зяблик"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ji-binc"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asgell fraith" }, { "lang": "이도", "lang_code": "i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inko"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roman": "zuaoator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fringuello"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ěnkava"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пимпĕ" }, { "lang": "카슈브어", "lang_code": "csb",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wiszónk"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sà" }, { "lang": "코르시카어", "lang_code": "c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cionu"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zeba"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ispinoz"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bókígða"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tentilhão"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zięba"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pinson"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angoj"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fringoj"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eippo"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pinty"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참새목 되새과의 새. 유럽과 러시아서부, 터키, 시리아, 이란서부, 북아프리카북서부에 서식하며 겨울에 중앙아시아, 러시아남서부, 북아프리카로 건너가서 잠시 서식한다.", "word": "erdei pinty" } ], "word": "푸른머리되새"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푸른머리되새 meaning in 한국어 (21.7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1-31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20 using wiktextract (bcd5c38 and 9dbd323).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