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부처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1개의 항목이 있는 문서",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Late Old Korean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Late Old Korean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Old Chinese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근대 한국어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근대 한국어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복된 로마자 표기가 있는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복된 문자 체계 코드가 있는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세 한국어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세 한국어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기본형",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조어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조어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항목이 있는 문서",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에서 Old Chinese 佛體로 전래되었고, 이를 한국조어 *pwutukye로, Late Old Korean 佛體 (*PWUthye?)를 거쳤고, 중세 한국어 부텨 (pwuthye)에서 :틀:pron가 :틀:pron되면서 근대 한국어 부쳐 (pwuchye)가 됨."
],
"forms": [
{
"form": "bucheo",
"tags": [
"romanization"
]
},
{
"form": "佛體"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석가모니의 다른 이름."
],
"id": "ko-부처-ko-noun-1WpY14j9"
},
{
"glosses": [
"불도를 깨달은 성인."
],
"id": "ko-부처-ko-noun-Wu6Q-2yC"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용례가 포함된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examples": [
{
"text": "향을 사르고 부처 앞에 절을 올렸다."
}
],
"glosses": [
"부처의 형상을 표현한 상. 나무ㆍ돌ㆍ쇠ㆍ흙 따위로 만든, 부처의 소상(塑像)이나 화상(畫像)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id": "ko-부처-ko-noun-9GlopiT0"
}
],
"sounds": [
{
"ipa": "[put͡ɕʰʌ̹]"
},
{
"hangul": "[부처]"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uch'ŏ",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u.che",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error-lua-exec"
],
"word": "부처"
}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1개의 항목이 있는 문서",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복된 로마자 표기가 있는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중복된 문자 체계 코드가 있는 한국어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표준어 단일어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표준어 자립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기본형",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항목이 있는 문서",
"parents": [],
"source": "w"
}
],
"forms": [
{
"form": "bucheo",
"tags": [
"romanization"
]
},
{
"form": "夫妻"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남편과 아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id": "ko-부처-ko-noun-BtkuedEX"
}
],
"sounds": [
{
"ipa": "[put͡ɕʰʌ̹]"
},
{
"hangul": "[부처]"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uch'ŏ",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u.che",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error-lua-exec"
],
"word": "부처"
}
{
"categories": [
"1개의 항목이 있는 문서",
"IPA 발음이 포함된 한국어 낱말",
"Late Old Korean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Late Old Korean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Old Chinese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근대 한국어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근대 한국어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중복된 로마자 표기가 있는 한국어 낱말",
"중복된 문자 체계 코드가 있는 한국어 낱말",
"중세 한국어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중세 한국어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한국어 기본형",
"한국어 명사",
"한국조어에서 물려받은 한국어 낱말",
"한국조어에서 파생된 한국어 낱말",
"항목이 있는 문서"
],
"etymology_texts": [
"에서 Old Chinese 佛體로 전래되었고, 이를 한국조어 *pwutukye로, Late Old Korean 佛體 (*PWUthye?)를 거쳤고, 중세 한국어 부텨 (pwuthye)에서 :틀:pron가 :틀:pron되면서 근대 한국어 부쳐 (pwuchye)가 됨."
],
"forms": [
{
"form": "bucheo",
"tags": [
"romanization"
]
},
{
"form": "佛體"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석가모니의 다른 이름."
]
},
{
"glosses": [
"불도를 깨달은 성인."
]
},
{
"categories": [
"용례가 포함된 한국어 낱말"
],
"examples": [
{
"text": "향을 사르고 부처 앞에 절을 올렸다."
}
],
"glosses": [
"부처의 형상을 표현한 상. 나무ㆍ돌ㆍ쇠ㆍ흙 따위로 만든, 부처의 소상(塑像)이나 화상(畫像)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
}
],
"sounds": [
{
"ipa": "[put͡ɕʰʌ̹]"
},
{
"hangul": "[부처]"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uch'ŏ",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u.che",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error-lua-exec"
],
"word": "부처"
}
{
"categories": [
"1개의 항목이 있는 문서",
"중복된 로마자 표기가 있는 한국어 낱말",
"중복된 문자 체계 코드가 있는 한국어 낱말",
"표준어 단일어명사",
"표준어 자립명사",
"한국어 기본형",
"한국어 명사",
"항목이 있는 문서"
],
"forms": [
{
"form": "bucheo",
"tags": [
"romanization"
]
},
{
"form": "夫妻"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남편과 아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
"sounds": [
{
"ipa": "[put͡ɕʰʌ̹]"
},
{
"hangul": "[부처]"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buch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puch'ŏ",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pu.che",
"tags": [
"Yale",
"romanization"
]
}
],
"tags": [
"error-lua-exec"
],
"word": "부처"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부처 meaning in 한국어 (2.8kB)
{
"called_from": "luaexec/683",
"msg": "LUA error in #invoke('etymology/templates', 'derived') parent ('틀:파생', {1: 'ko', 2: 'sa', 3: 'बुद्धत्व'})",
"path": [
"부처",
"Template:der",
"#invoke",
"#invoke"
],
"section": "한국어",
"subsection": "",
"title": "부처",
"trace": "[string \"Module:languages\"]:502: Substitution data 'sa-translit' does not match an existing module."
}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11-20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11-02 using wiktextract (2f66b98 and a050b89).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