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 meaning in 한국어

See 도토리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unknown

IPA: [to̞tʰo̞ɾi] [SK-Standard, Seoul], [to̞tʰo̞ɾi] [SK-Standard, Seoul]
  1.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Sense id: ko-도토리-ko-unknown-5WC3YNpl
The following are not (yet) sense-disambiguated
Synonyms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상실, 괵실 Derived forms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도토리묵, 도토리나무 Translations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belota [feminine] (갈리시아어), æcern (고대영어), რკო (그루지야어), βελανίδι (velanídi) (그리스어), eikel [masculine] (네덜란드어), kongle [masculine, feminine] (노르웨이어), Eichel [feminine] (독일어), zīlīte [feminine] (라트비아어), жёлудь (žólud’) [feminine] (러시아어), ghinda [feminine] (루마니아어), gilė [feminine] (리투아니아어), желад (žélad) [masculine] (마케도니아어), жир (žir) [masculine] (마케도니아어), ezkur (바스크어), quả đầu (베트남어), žir [masculine] (보스니아어), želu [masculine] (보스니아어), kvär (볼라퓌크), жълъд (불가리아어), achuł [feminine] (비미소리쉬어), жир (세르비아어), žir [Latin, masculine] (세르비아어), желуд (세르비아어), želud [Latin, masculine] (세르비아어), ekollon [neuter] (스웨덴어), bellota [feminine] (스페인어), žaluď [masculine] (슬로바키아어), بلوط (ballūṭ) [masculine] (아랍어), կաղին (kaġin) (아르메니아어), akarn [neuter] (아이슬란드어), lende [feminine] (알바니아어), tammetõru (에스토니아어), glano (에스페란토), acorn (영어), гыркъо (오세티야어), жолудь (우크라이나어), ghianda [feminine] (이탈리아어), glande (donguri) (인터링구아), 橡子 (xiàngzǐ) (중국어), watýkˑa- (중부시에라미워크어), žalud [masculine] (체코어), gla [feminine] (카탈루냐어), žir [masculine] (크로아티아어), ผลต้นโอ๊ก (pŏn dtôn óhk) (타이어), palamut (터키어), bolota [feminine] (포르투갈어), żołądź [masculine] (폴란드어), gland [masculine] (프랑스어), tammenterho (핀란드어), makk (헝가리어)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단일어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식물",
      "parents": [],
      "source": "w"
    }
  ],
  "derived": [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도토리묵"
    },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도토리나무"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unknown",
  "senses": [
    {
      "glosses": [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
      "id": "ko-도토리-ko-unknown-5WC3YNpl"
    }
  ],
  "sounds": [
    {
      "ipa": "[to̞tʰo̞ɾi]",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도토리]"
    },
    {
      "roman": "dotor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dotol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tot'or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to.tholi",
      "tags": [
        "Yale",
        "romanization"
      ]
    },
    {
      "ipa": "[to̞tʰo̞ɾi]",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도토리]"
    },
    {
      "roman": "dotor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dotol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tot'or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to.tholi",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raw_tags": [
        "槲實"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상실"
    },
    {
      "raw_tags": [
        "槲實"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괵실"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belota"
    },
    {
      "lang": "고대영어",
      "lang_code": "ang",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æcern"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რკო"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velaníd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βελανίδι"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eikel"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feminine"
      ],
      "word": "kongl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Eichel"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zīlīte"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žólud’",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жёлудь"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hinda"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ilė"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žélad",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желад"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ži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жир"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ezkur"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quả đầu"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ir"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elu"
    },
    {
      "lang": "볼라퓌크",
      "lang_code": "v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kvär"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ълъд"
    },
    {
      "lang": "비미소리쉬어",
      "lang_code": "wym",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chuł"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ир"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Latin",
        "masculine"
      ],
      "word": "žir"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елуд"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Latin",
        "masculine"
      ],
      "word": "želud"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neuter"
      ],
      "word": "ekollon"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aluď"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ballūṭ",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بلوط"
    },
    {
      "lang": "아르메니아어",
      "lang_code": "hy",
      "roman": "kaġin",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կաղին"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neuter"
      ],
      "word": "akarn"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lende"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tammetõru"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bellot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glan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acorn"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гыркъо"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олудь"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hianda"
    },
    {
      "lang": "인터링구아",
      "lang_code": "ia",
      "roman": "dongur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glande"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xiàngzǐ",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橡子"
    },
    {
      "lang": "중부시에라미워크어",
      "lang_code": "csm",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watýkˑa-"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alud"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la"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ir"
    },
    {
      "lang": "타이어",
      "lang_code": "th",
      "roman": "pŏn dtôn óhk",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ผลต้นโอ๊ก"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palamut"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bolot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żołądź"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gland"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tammenterho"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makk"
    }
  ],
  "word": "도토리"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단일어명사",
    "한국어 식물"
  ],
  "derived": [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도토리묵"
    },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도토리나무"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unknown",
  "senses": [
    {
      "glosses": [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
    }
  ],
  "sounds": [
    {
      "ipa": "[to̞tʰo̞ɾi]",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도토리]"
    },
    {
      "roman": "dotor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dotol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tot'or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to.tholi",
      "tags": [
        "Yale",
        "romanization"
      ]
    },
    {
      "ipa": "[to̞tʰo̞ɾi]",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도토리]"
    },
    {
      "roman": "dotor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dotol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tot'or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to.tholi",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raw_tags": [
        "槲實"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상실"
    },
    {
      "raw_tags": [
        "槲實"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괵실"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belota"
    },
    {
      "lang": "고대영어",
      "lang_code": "ang",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æcern"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რკო"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velaníd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βελανίδι"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eikel"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feminine"
      ],
      "word": "kongl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Eichel"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zīlīte"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žólud’",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жёлудь"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hinda"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ilė"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žélad",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желад"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ži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жир"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ezkur"
    },
    {
      "lang": "베트남어",
      "lang_code": "v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quả đầu"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ir"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elu"
    },
    {
      "lang": "볼라퓌크",
      "lang_code": "v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kvär"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ълъд"
    },
    {
      "lang": "비미소리쉬어",
      "lang_code": "wym",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achuł"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ир"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Latin",
        "masculine"
      ],
      "word": "žir"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елуд"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Latin",
        "masculine"
      ],
      "word": "želud"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neuter"
      ],
      "word": "ekollon"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aluď"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ballūṭ",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بلوط"
    },
    {
      "lang": "아르메니아어",
      "lang_code": "hy",
      "roman": "kaġin",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կաղին"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neuter"
      ],
      "word": "akarn"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lende"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tammetõru"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bellot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glan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acorn"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гыркъо"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жолудь"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hianda"
    },
    {
      "lang": "인터링구아",
      "lang_code": "ia",
      "roman": "dongur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glande"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xiàngzǐ",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橡子"
    },
    {
      "lang": "중부시에라미워크어",
      "lang_code": "csm",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watýkˑa-"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alud"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gla"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žir"
    },
    {
      "lang": "타이어",
      "lang_code": "th",
      "roman": "pŏn dtôn óhk",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ผลต้นโอ๊ก"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palamut"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feminine"
      ],
      "word": "bolot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żołądź"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tags": [
        "masculine"
      ],
      "word": "gland"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tammenterho"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상수리나무(참나무) 종류의 열매로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가 있다. 도토리 묵의 재료이자, 들짐승의 먹이다. 도토리를 이용한 장난감이나 장식품도 있다.",
      "word": "makk"
    }
  ],
  "word": "도토리"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도토리 meaning in 한국어 (17.3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2-03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20 using wiktextract (05fdf6b and 9dbd323).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