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그래서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접속부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준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파생부사",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adv", "pos_title": "부사", "senses": [ { "examples": [ { "text": "네가 쓴 글은 틀리다. 그래서 내가 고쳤다." }, { "text": "우리 형은 영국에 살고 있다. 그래서 오는 여름방학에 영국에 놀러간다." } ], "glosses": [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 "id": "ko-그래서-ko-adv-i-2ep2HC" } ], "sounds": [ { "audio": "Ko-그래서.ogg", "mp3_url":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ranscoded/8/80/Ko-그래서.ogg/Ko-그래서.ogg.mp3", "ogg_url": "https://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그래서.ogg" }, { "ipa": "[kɯɾɛsʰʌ̹] ~ [kɯɾe̞sʰʌ̹]",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그래서/그레서]" }, { "roman": "geuraes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eulaes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ŭraësŏ",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ulayse",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그러므로"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따라서"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그리하여"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고로"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므로" } ], "translations":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ანუ"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ამიტომ"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epoménos",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επομένω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έτσι" }, { "lang": "나바호어", "lang_code": "nv",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háálá"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aarom"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rfor"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swegen"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shalb"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ergō"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itaque"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poétom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поэтому"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посему"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ci"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șadar"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rin urmare"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șa"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êrom"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basi"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r eso"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li-dhaali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لذلك"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li-haadha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لهذا" }, { "lang": "아르메니아어", "lang_code": "hy", "roman": "uremn",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ուրեմն"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therefore"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o" }, { "lang": "오지브웨어", "lang_code": "oj",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nindawaa" }, { "lang": "우드무르트어", "lang_code": "udm",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бӧрысь"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roman": "soshit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отже"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suǒyǐ",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所以"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yīncǐ",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因此"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roto"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oncs" }, { "lang": "크림타타르어", "lang_code": "crh",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tags": [ "North" ], "word": "ayse" }, { "lang": "크림타타르어", "lang_code": "crh",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bulay" }, { "lang": "크메르어", "lang_code": "km", "roman": "añchəng",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អញ្ចឹង"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anduk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అందుకే"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kaabaTT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కాబట్టి"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anduchEt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అందుచేత"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kanu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కనుక" }, { "lang": "파슈토어", "lang_code": "ps", "roman": "zə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ځكه"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rtanto"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ssim sendo"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r isto"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więc"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zatem"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onc"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ur ça"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iksi"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en"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vuoksi"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en"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taki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zért"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ezért"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emiatt" }, { "lang": "히브리어", "lang_code": "he", "roman": "az",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אָז" } ], "word": "그래서"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접속부사", "한국어 준말", "한국어 파생부사"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adv", "pos_title": "부사", "senses": [ { "examples": [ { "text": "네가 쓴 글은 틀리다. 그래서 내가 고쳤다." }, { "text": "우리 형은 영국에 살고 있다. 그래서 오는 여름방학에 영국에 놀러간다." } ], "glosses": [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 } ], "sounds": [ { "audio": "Ko-그래서.ogg", "mp3_url":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ranscoded/8/80/Ko-그래서.ogg/Ko-그래서.ogg.mp3", "ogg_url": "https://commons.wikimedia.org/wiki/Special:FilePath/Ko-그래서.ogg" }, { "ipa": "[kɯɾɛsʰʌ̹] ~ [kɯɾe̞sʰʌ̹]",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그래서/그레서]" }, { "roman": "geuraes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eulaeseo",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ŭraësŏ",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ulayse",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그러므로"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따라서"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그리하여"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고로" }, {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므로" } ], "translations":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ანუ"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ამიტომ"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epoménos",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επομένως"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έτσι" }, { "lang": "나바호어", "lang_code": "nv",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háálá"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aarom"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rfor"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swegen"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shalb"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ergō"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itaque"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poétom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поэтому"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посему"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eci"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șadar"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rin urmare"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șa"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êrom" }, { "lang": "스와힐리어", "lang_code": "sw",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basi"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r eso"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li-dhaali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لذلك" }, { "lang": "아랍어", "lang_code": "ar", "roman": "li-haadha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لهذا" }, { "lang": "아르메니아어", "lang_code": "hy", "roman": "uremn",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ուրեմն"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therefore"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o" }, { "lang": "오지브웨어", "lang_code": "oj",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nindawaa" }, { "lang": "우드무르트어", "lang_code": "udm",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бӧрысь"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roman": "soshit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отже"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suǒyǐ",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所以"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roman": "yīncǐ",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因此"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roto"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oncs" }, { "lang": "크림타타르어", "lang_code": "crh",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tags": [ "North" ], "word": "ayse" }, { "lang": "크림타타르어", "lang_code": "crh",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bulay" }, { "lang": "크메르어", "lang_code": "km", "roman": "añchəng",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អញ្ចឹង"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andukE",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అందుకే"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kaabaTT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కాబట్టి"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anduchEt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అందుచేత" }, { "lang": "텔루구어", "lang_code": "te", "roman": "kanu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కనుక" }, { "lang": "파슈토어", "lang_code": "ps", "roman": "zəka",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ځكه"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rtanto"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ssim sendo"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r isto"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więc"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zatem"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donc"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pour ça"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iksi"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en"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vuoksi"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sen"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taki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azért"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ezért"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emiatt" }, { "lang": "히브리어", "lang_code": "he", "roman": "az", "sense": "앞에 든 사실이 뒤에 오는 말의 까닭이나 조건을 나타낼 때 쓰는 접속 부사.", "word": "אָז" } ], "word": "그래서"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그래서 meaning in 한국어 (11.9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1-31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20 using wiktextract (bcd5c38 and 9dbd323).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