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개암나무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나무",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합성명사", "parents": [], "source": "w" } ], "etymology_texts": [ "개암 + 나무"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unknown", "senses": [ { "glosses": [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 "id": "ko-개암나무-ko-unknown-PMVv2wWH" } ], "sounds": [ { "ipa": "[kɛa̠mna̠mu] ~ [ke̞a̠mna̠mu]",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개암나무/게암나무]"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ëamnamu",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y.amnamu", "tags": [ "Yale", "romanization" ] }, { "ipa": "[kɛa̠mna̠mu] ~ [ke̞a̠mna̠mu]",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개암나무/게암나무]"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ëamnamu",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y.amnamu",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beleira"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archaic" ], "word": "φουντουκιά"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καρύα"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Haselnussstrauch"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ußstrauch"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ußsträucher" }, { "lang": "라크어", "lang_code": "lb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пуннукь"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riekstkok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corulu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corylu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neuter" ], "word": "coryletum" }, { "lang": "레즈긴어", "lang_code": "lez",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шуьмягъ ттар" }, { "lang": "레즈긴어", "lang_code": "lez",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кIерец ттар"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орешник"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щина"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azdynas"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ска"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лескарник"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лешник"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лештарник" }, { "lang": "마푸체어", "lang_code": "ar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nefü"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арэшнік"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шник"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ска" }, { "lang": "사모기트어", "lang_code": "sg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azdīns" }, { "lang": "상소르브어", "lang_code": "hsb",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ěšćina"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zzenutebeam"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buske"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calltainn"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lieska" }, { "lang": "아라곤어", "lang_code": "a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laner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coll"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болбукта"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тактыка̄г"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болгиг"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sarapuu"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pähkelsüsi"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avellano"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avellaner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ujo"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arbo" }, { "lang": "영어", "lang_code": "en", "roman": "hazel tre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zel"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æхсæрбын"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æхсæр"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anièr"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uglanièr"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ulanhièr"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горішник"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іщина"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collen"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occiolo"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avellano" }, { "lang": "인구시어", "lang_code": "inh",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бIаьринг" }, { "lang": "인터링구아", "lang_code": "i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laniero"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íska"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ořeší"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шӗшкӗ" }, { "lang": "카슈브어", "lang_code": "csb",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eszczëna"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жаңғақ ағашы"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жаңғақтық"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жаңғақша"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laner" }, { "lang": "콘월어", "lang_code": "kw",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kollwydhenn"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lijeska"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raw_tags": [ "-ğı" ],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fındık"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fındıklık"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aveleir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leszczyna"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oisetier"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coudrier"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noiseraie"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coudraie" }, { "lang": "프리울리아어", "lang_code": "fu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noglâr"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pähkinäpensas" } ], "word": "개암나무"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나무", "한국어 합성명사" ], "etymology_texts": [ "개암 + 나무"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unknown", "senses": [ { "glosses": [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 } ], "sounds": [ { "ipa": "[kɛa̠mna̠mu] ~ [ke̞a̠mna̠mu]",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개암나무/게암나무]"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ëamnamu",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y.amnamu", "tags": [ "Yale", "romanization" ] }, { "ipa": "[kɛa̠mna̠mu] ~ [ke̞a̠mna̠mu]",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개암나무/게암나무]"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eamnamu",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ëamnamu",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y.amnamu",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beleira"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archaic" ], "word": "φουντουκιά"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καρύα"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Haselnussstrauch"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ußstrauch"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ußsträucher" }, { "lang": "라크어", "lang_code": "lb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пуннукь"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riekstkok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corulu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corylu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neuter" ], "word": "coryletum" }, { "lang": "레즈긴어", "lang_code": "lez",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шуьмягъ ттар" }, { "lang": "레즈긴어", "lang_code": "lez",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кIерец ттар"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орешник"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щина"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azdynas"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ска"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лескарник"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лешник"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лештарник" }, { "lang": "마푸체어", "lang_code": "ar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nefü"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арэшнік"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шник"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еска" }, { "lang": "사모기트어", "lang_code": "sg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azdīns" }, { "lang": "상소르브어", "lang_code": "hsb",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ěšćina"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zzenutebeam"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buske"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ssel"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calltainn"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lieska" }, { "lang": "아라곤어", "lang_code": "a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laner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coll"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болбукта"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тактыка̄г"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болгиг"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sarapuu"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pähkelsüsi"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avellano"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avellaner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ujo"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arbo" }, { "lang": "영어", "lang_code": "en", "roman": "hazel tree",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hazel"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æхсæрбын"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æхсæр"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anièr"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uglanièr"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ulanhièr"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горішник"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ліщина"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collen"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occiolo"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avellano" }, { "lang": "인구시어", "lang_code": "inh",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бIаьринг" }, { "lang": "인터링구아", "lang_code": "i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laniero"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íska"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ořeší"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шӗшкӗ" }, { "lang": "카슈브어", "lang_code": "csb",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leszczëna"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жаңғақ ағашы"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жаңғақтық"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жаңғақша"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avellaner" }, { "lang": "콘월어", "lang_code": "kw",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kollwydhenn"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lijeska"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raw_tags": [ "-ğı" ],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fındık"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fındıklık"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aveleir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leszczyna"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noisetier"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masculine" ], "word": "coudrier"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noiseraie"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tags": [ "feminine" ], "word": "coudraie" }, { "lang": "프리울리아어", "lang_code": "fur",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noglâr"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봄에 벼 이삭을 닮은 꽃이삭을 피우며 가을에 도토리와 같은 열매을 맺는다. 열매 개암은 식용으로 쓴다.", "word": "pähkinäpensas" } ], "word": "개암나무"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개암나무 meaning in 한국어 (21.7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1-31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20 using wiktextract (bcd5c38 and 9dbd323).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