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갈까마귀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조류", "parents": [], "source": "w" }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 "id": "ko-갈까마귀-ko-noun-mtt-ezD1" } ], "sounds": [ { "ipa": "[ka̠ɭk͈a̠ma̠ɡɥi] ~ [ka̠ɭk͈a̠ma̠ɡy]",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갈까마귀]" }, { "roman": "galkkamagw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lkkamagw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lkkamagw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l.kkamakwi",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la cereixeira"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la pequena"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lla" }, { "lang": "고대아일랜드어", "lang_code": "sg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aóc"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ჭკა"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kárgi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archaic" ], "word": "κάργια"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koloio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κολοιός"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kauw"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ie"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allik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Dohle" }, { "lang": "라딘어", "lang_code": "ll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agacion" }, { "lang": "라딘어", "lang_code": "ll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cia"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ovārni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vus monedula"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monedula" }, { "lang": "레즈긴어", "lang_code": "lez",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Iагъ"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gal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галка" }, { "lang": "로망슈어", "lang_code": "rm", "roman": "curnagl grisch",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tulaun"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ioacă"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stăncuţa"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uosa"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däölke"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čav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чавка" }, { "lang": "맨어", "lang_code": "g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caaig doo-chassagh" }, { "lang": "몰타어", "lang_code": "m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ċawla"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bele txiki"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raw_tags": [ "키릴"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галка"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Latin" ], "word": "hałka"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каўка"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čavka"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roman": "čav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브르타뉴어", "lang_code": "b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an-tour" }, { "lang": "브르타뉴어", "lang_code": "b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an-tour"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tàccula"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arroga"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arroghedda" }, { "lang": "상소르브어", "lang_code": "hsb",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wka"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Latin", "feminine" ], "word": "čavka"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지소사 형태"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čavče"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ja"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adhag"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athag"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ka tmavá"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ka obyčajná"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vka" }, { "lang": "아라곤어", "lang_code": "a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leta" }, { "lang": "아라곤어", "lang_code": "a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beta"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dvergkrák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cág"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alë"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галка" }, { "lang": "에르자어", "lang_code": "my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уракӣ"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урлаки"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hakk"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jill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moned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jackdaw"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цъах"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цъиах"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hon" }, { "lang": "우드무르트어", "lang_code": "udm",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ӵана" }, { "lang": "우즈베크어", "lang_code": "uz", "raw_tags": [ "키릴"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зоғча" }, { "lang": "우즈베크어", "lang_code": "uz",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Latin" ], "word": "zog'cha"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roman": "hal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галка"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галиця"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dialectal" ], "word": "кава" }, { "lang": "왈론어", "lang_code": "w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tchawe"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jac-y-do"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jac-do" }, { "lang": "이도", "lang_code": "i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huvo"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cchia grigia"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taccola" }, { "lang": "인도네시아어", "lang_code": "id", "roman": "nishikokumarugarasu",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burung gagak kecil" }, { "lang": "저지색슨어", "lang_code": "nd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Dohl" }, { "lang": "저지색슨어", "lang_code": "nd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rickelkreih"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寒鸦" }, { "lang": "체첸어", "lang_code": "c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овка"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vka"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на" }, { "lang": "카라차이발카르어", "lang_code": "kr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ука" }, { "lang": "카슈브어", "lang_code": "csb",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mòrës"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ұзаққарға"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ұзақ"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шауқарға"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lla" }, { "lang": "코미페르먀크어", "lang_code": "ko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явкан" }, { "lang": "코미페르먀크어", "lang_code": "ko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явган" }, { "lang": "코미페르먀크어", "lang_code": "ko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н" }, { "lang": "쿠미크어", "lang_code": "kum",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жагъа"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čavka" }, { "lang": "타타르어", "lang_code": "t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әүкә"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üçük karga" }, { "lang": "투르크멘어", "lang_code": "t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zakyja"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rókur"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lha de nuca cinzent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wka"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choucas" }, { "lang": "프리울리아어", "lang_code": "fu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ete" }, { "lang": "프리울리아어", "lang_code": "fu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çore cenerine"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jass"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ja" }, { "lang": "피카르드어", "lang_code": "pc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lhe"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naakka" }, { "lang": "하소르브어", "lang_code": "dsb",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wk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sóka" }, { "lang": "히브리어", "lang_code": "he", "roman": "ka'a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קאק" } ], "word": "갈까마귀"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명사", "한국어 조류"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 } ], "sounds": [ { "ipa": "[ka̠ɭk͈a̠ma̠ɡɥi] ~ [ka̠ɭk͈a̠ma̠ɡy]",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갈까마귀]" }, { "roman": "galkkamagwi",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lkkamagwi",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lkkamagwi",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l.kkamakwi", "tags": [ "Yale", "romanization" ] } ], "translations":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la cereixeira"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la pequena" }, { "lang": "갈리시아어", "lang_code": "g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lla" }, { "lang": "고대아일랜드어", "lang_code": "sg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aóc" }, { "lang": "그루지야어", "lang_code": "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ჭკა"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kárgi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archaic" ], "word": "κάργια" }, { "lang": "그리스어", "lang_code": "el", "roman": "koloio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κολοιός" }, { "lang": "네덜란드어", "lang_code": "n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kauw" }, { "lang": "노르웨이어", "lang_code": "n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ie" }, { "lang": "덴마크어", "lang_code": "d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allike" }, { "lang": "독일어", "lang_code": "d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Dohle" }, { "lang": "라딘어", "lang_code": "ll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agacion" }, { "lang": "라딘어", "lang_code": "ll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cia" }, { "lang": "라트비아어", "lang_code": "l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ovārnis"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vus monedula" }, { "lang": "라틴어", "lang_code": "l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monedula" }, { "lang": "레즈긴어", "lang_code": "lez",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Iагъ" }, { "lang": "러시아어", "lang_code": "ru", "roman": "gal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галка" }, { "lang": "로망슈어", "lang_code": "rm", "roman": "curnagl grisch",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tulaun"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ioacă" }, { "lang": "루마니아어", "lang_code": "r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stăncuţa" }, { "lang": "리투아니아어", "lang_code": "l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uosa" }, { "lang": "림뷔르흐어", "lang_code": "l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däölke" }, { "lang": "마케도니아어", "lang_code": "mk", "roman": "čav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чавка" }, { "lang": "맨어", "lang_code": "g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caaig doo-chassagh" }, { "lang": "몰타어", "lang_code": "m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ċawla" }, { "lang": "바스크어", "lang_code": "eu",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bele txiki"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raw_tags": [ "키릴"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галка"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Latin" ], "word": "hałka" }, { "lang": "벨라루스어", "lang_code": "b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каўка" }, { "lang": "보스니아어", "lang_code": "b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čavka" }, { "lang": "불가리아어", "lang_code": "bg", "roman": "čav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브르타뉴어", "lang_code": "b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an-tour" }, { "lang": "브르타뉴어", "lang_code": "b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an-tour"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tàccula"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arroga" }, { "lang": "사르데냐어", "lang_code": "s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arroghedda" }, { "lang": "상소르브어", "lang_code": "hsb",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wka"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키릴"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Latin", "feminine" ], "word": "čavka" }, { "lang": "세르비아어", "lang_code": "sr", "raw_tags": [ "지소사 형태"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čavče" }, { "lang": "서프리지아어", "lang_code": "fy",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 }, { "lang": "스웨덴어", "lang_code": "s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ja"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adhag" }, { "lang": "스코틀랜드게일어", "lang_code": "g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cathag"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ka tmavá" }, { "lang": "슬로바키아어", "lang_code": "s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avka obyčajná" }, { "lang": "슬로베니아어", "lang_code": "s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vka" }, { "lang": "아라곤어", "lang_code": "a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leta" }, { "lang": "아라곤어", "lang_code": "a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beta" }, { "lang": "아이슬란드어", "lang_code": "i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dvergkráka" }, { "lang": "아일랜드어", "lang_code": "g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cág" }, { "lang": "알바니아어", "lang_code": "sq",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alë" }, { "lang": "야쿠트어", "lang_code": "sah",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галка" }, { "lang": "에르자어", "lang_code": "my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уракӣ" }, { "lang": "에벤키어", "lang_code": "ev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урлаки" }, { "lang": "에스토니아어", "lang_code": "e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hakk" }, { "lang": "스페인어", "lang_code": "e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jilla" }, { "lang": "에스페란토", "lang_code": "e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monedo"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jackdaw"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цъах" }, { "lang": "오세티야어", "lang_code": "o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цъиах" }, { "lang": "오크어", "lang_code": "o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gralhon" }, { "lang": "우드무르트어", "lang_code": "udm",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ӵана" }, { "lang": "우즈베크어", "lang_code": "uz", "raw_tags": [ "키릴" ],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зоғча" }, { "lang": "우즈베크어", "lang_code": "uz",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Latin" ], "word": "zog'cha"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roman": "halk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галка"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галиця" }, { "lang": "우크라이나어", "lang_code": "u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dialectal" ], "word": "кава" }, { "lang": "왈론어", "lang_code": "w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tchawe"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jac-y-do" }, { "lang": "웨일스어", "lang_code": "cy",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jac-do" }, { "lang": "이도", "lang_code": "i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huvo"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cchia grigia" }, { "lang": "이탈리아어", "lang_code": "i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taccola" }, { "lang": "인도네시아어", "lang_code": "id", "roman": "nishikokumarugarasu",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burung gagak kecil" }, { "lang": "저지색슨어", "lang_code": "nd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Dohl" }, { "lang": "저지색슨어", "lang_code": "nd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rickelkreih"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寒鸦" }, { "lang": "체첸어", "lang_code": "ce",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овка" }, { "lang": "체코어", "lang_code": "c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vka"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 }, { "lang": "추바슈어", "lang_code": "cv",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на" }, { "lang": "카라차이발카르어", "lang_code": "krc",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ука" }, { "lang": "카슈브어", "lang_code": "csb",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mòrës"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ұзаққарға"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ұзақ" }, { "lang": "카자흐어", "lang_code": "k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шауқарға" }, { "lang": "카탈루냐어", "lang_code": "ca",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lla" }, { "lang": "코미페르먀크어", "lang_code": "ko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явкан" }, { "lang": "코미페르먀크어", "lang_code": "ko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тявган" }, { "lang": "코미페르먀크어", "lang_code": "ko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авкан" }, { "lang": "쿠미크어", "lang_code": "kum",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жагъа" }, { "lang": "크로아티아어", "lang_code": "h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čavka" }, { "lang": "타타르어", "lang_code": "t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чәүкә" }, { "lang": "터키어", "lang_code": "t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küçük karga" }, { "lang": "투르크멘어", "lang_code": "t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zakyja" }, { "lang": "페로어", "lang_code": "fo",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rókur" }, { "lang": "포르투갈어", "lang_code": "pt",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gralha de nuca cinzenta" }, { "lang": "폴란드어", "lang_code": "pl",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wka" }, { "lang": "프랑스어", "lang_code": "f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masculine" ], "word": "choucas" }, { "lang": "프리울리아어", "lang_code": "fu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ete" }, { "lang": "프리울리아어", "lang_code": "fur",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çore cenerine"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jass" }, { "lang": "피에몬테어", "lang_code": "pms",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ja" }, { "lang": "피카르드어", "lang_code": "pcd",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ornalhe" }, { "lang": "핀란드어", "lang_code": "fi",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naakka" }, { "lang": "하소르브어", "lang_code": "dsb",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tags": [ "feminine" ], "word": "kawka" }, { "lang": "헝가리어", "lang_code": "hu",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csóka" }, { "lang": "히브리어", "lang_code": "he", "roman": "ka'ak", "sense": "까마귀과의 새. 북아프리카에서 유럽의 대부분 지역, 이란, 인도북서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에 이르기까지 서식한다.", "word": "קאק" } ], "word": "갈까마귀"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갈까마귀 meaning in 한국어 (27.8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7-16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7-02 using wiktextract (59e63ed and f1c2b61).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