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e 가계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단일어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자립명사",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중국식 한자어", "parents": [], "source": "w" }, { "kind": "other", "name": "한국어 한자어 독음", "parents": [], "source": "w" } ], "derived": [ { "sense":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word": "가계부" } ], "etymology_texts": [ "한자 加計\n:*", "한자 加計.", "한자 加筓.\n:*참조: 계례, 계년", "한자 加階.\n:* 이날 문신의 연사(連射)가 끝나자 유빈이 수석을 차지하였으므로 가계를 명하였다. (따옴◄번역 성종실록)", "한자 加髻.", "한자 家戒.\n:* 우리 가계는 조상 대대로 내려왔다.", "한자 家系\n:* 양반의 가계에서 태어나다.\n:* 가계를 잇다.", "한자 家契.\n:* 가계는 가옥의 소유자, 소재지, 평수 따위가 기록되어 있다.", "한자 家計\n:* 남편이 일자리를 잃어 가계가 쪼들리다.", "한자 家計.\n:* 가계를 계산하다.", "한자 家計.\n:* 가계 대출", "한자 家鷄.", "한자 家繼.\n:*"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액면가가 시가와 다른 경우에 그 차액을 더 계산하는 일." ], "id": "ko-가계-ko-noun-Dzy9LnYN" }, { "glosses": [ "가산." ], "id": "ko-가계-ko-noun-lNhUZz-u" }, { "glosses": [ "상투를 틀거나 쪽을 찌고 비녀를 꽂음." ], "id": "ko-가계-ko-noun-KrFW99Yp" }, { "glosses": [ "품계를 올리는 일." ], "id": "ko-가계-ko-noun-OVV3funZ" }, { "glosses": [ "여자가 쪽을 찐 머리를 꾸밀 때 다리를 곁들여서 땋음." ], "id": "ko-가계-ko-noun-iggLyISv" }, { "glosses": [ "한 집안의 규율이나 교육 지침." ], "id": "ko-가계-ko-noun-RpGm5Xv0" }, { "glosses": [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 "id": "ko-가계-ko-noun-PANlJmeI" }, { "glosses": [ "한성부가 발부하던 조선 시대의 집문서." ], "id": "ko-가계-ko-noun-rHFziuav" }, { "glosses": [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 "id": "ko-가계-ko-noun-vM5Lss8X" }, { "glosses": [ "한 집안 살림의 수입과 지출의 상태." ], "id": "ko-가계-ko-noun-2kGR5IOU" }, { "glosses": [ "소비 주체로서의 가정." ], "id": "ko-가계-ko-noun-9PvFV3Ih" }, { "glosses": [ "집닭." ], "id": "ko-가계-ko-noun-fqX4Bvvx" }, { "glosses": [ "집안의 대를 이음." ], "id": "ko-가계-ko-noun-fpI7I83l" } ], "sounds": [ { "ipa": "[ka̠ɡje̞] ~ [ka̠ɡe̞]",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가계/가게]" }, { "roman": "gagye",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gye",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gyaë",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kyey",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가문"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족보"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가통"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계보"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계통"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혈통" }, { "sense": "집닭.", "word": "집닭" }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genealogy"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lineage" }, { "lang": "일본어", "lang_code": "ja",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か-けい"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家谱"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家计"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word": "househol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word": "economy" } ], "word": "가계" }
{ "categories": [ "한국어 IPA 발음이 포함된 낱말", "한국어 단일어명사", "한국어 자립명사", "한국어 중국식 한자어", "한국어 한자어 독음" ], "derived": [ { "sense":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word": "가계부" } ], "etymology_texts": [ "한자 加計\n:*", "한자 加計.", "한자 加筓.\n:*참조: 계례, 계년", "한자 加階.\n:* 이날 문신의 연사(連射)가 끝나자 유빈이 수석을 차지하였으므로 가계를 명하였다. (따옴◄번역 성종실록)", "한자 加髻.", "한자 家戒.\n:* 우리 가계는 조상 대대로 내려왔다.", "한자 家系\n:* 양반의 가계에서 태어나다.\n:* 가계를 잇다.", "한자 家契.\n:* 가계는 가옥의 소유자, 소재지, 평수 따위가 기록되어 있다.", "한자 家計\n:* 남편이 일자리를 잃어 가계가 쪼들리다.", "한자 家計.\n:* 가계를 계산하다.", "한자 家計.\n:* 가계 대출", "한자 家鷄.", "한자 家繼.\n:*" ], "lang": "한국어", "lang_code": "ko",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glosses": [ "액면가가 시가와 다른 경우에 그 차액을 더 계산하는 일." ] }, { "glosses": [ "가산." ] }, { "glosses": [ "상투를 틀거나 쪽을 찌고 비녀를 꽂음." ] }, { "glosses": [ "품계를 올리는 일." ] }, { "glosses": [ "여자가 쪽을 찐 머리를 꾸밀 때 다리를 곁들여서 땋음." ] }, { "glosses": [ "한 집안의 규율이나 교육 지침." ] }, { "glosses": [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 }, { "glosses": [ "한성부가 발부하던 조선 시대의 집문서." ] }, { "glosses": [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 }, { "glosses": [ "한 집안 살림의 수입과 지출의 상태." ] }, { "glosses": [ "소비 주체로서의 가정." ] }, { "glosses": [ "집닭." ] }, { "glosses": [ "집안의 대를 이음." ] } ], "sounds": [ { "ipa": "[ka̠ɡje̞] ~ [ka̠ɡe̞]", "tags": [ "SK-Standard", "Seoul" ] }, { "hangul": "[가계/가게]" }, { "roman": "gagye", "tags": [ "revised", "romanization" ] }, { "roman": "gagye", "tags": [ "revised", "romanization", "transliteration" ] }, { "roman": "kagyaë", "tags": [ "McCune-Reischauer" ] }, { "roman": "kakyey", "tags": [ "Yale", "romanization" ] } ], "synonyms":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가문"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족보"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가통"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계보"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계통" }, {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혈통" }, { "sense": "집닭.", "word": "집닭" } ], "translations":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genealogy"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lineage" }, { "lang": "일본어", "lang_code": "ja",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か-けい"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家谱"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sense": "혈연적으로 이어진 한 집안의 관계.", "word": "家计"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word": "household" }, { "lang": "영어", "lang_code": "en", "sense": "쓰고 버는 집안 살림의 꾸림새나 형편.", "word": "economy" } ], "word": "가계"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가계 meaning in 한국어 (3.6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한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7-19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7-02 using wiktextract (45c4a21 and f1c2b61).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