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刑德" meaning in 중국어

See 刑德 in All languages combined, or Wiktionary

Noun

  1. 형덕. 형벌과 덕화를 아울러 이르는 말.
    Sense id: ko-刑德-zh-noun-fifU48cV
  2. 형벌과 은상(恩賞)을 아울러 이르는 말.
    Sense id: ko-刑德-zh-noun-B2nFnDk0
  3. 오행의 상생과 상극.
    Sense id: ko-刑德-zh-noun-~CJ0iIq4
  4. 음과 양의 성질. 형을 음, 덕을 양으로 본다.
    Sense id: ko-刑德-zh-noun-aWs9dAAM
  5. 십이진과 십일(十日)을 아울러 이르는 말. ≪회남자≫에서 십이진을 형(刑)이라고 하고 십일을 덕(德)이라 한 데서 나온 말이다.
    Sense id: ko-刑德-zh-noun-Nu8ZU0PM
  6. 황제(黃帝)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병법서. 전설로 여겨지며 후인이 의탁하여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Sense id: ko-刑德-zh-noun-93wHRjTD
The following are not (yet) sense-disambiguated
Categories (other): 중국어 명사
{
  "categories": [
    {
      "kind": "other",
      "name": "중국어 명사",
      "parents": [],
      "source": "w"
    }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울요(尉繚) (전국시대), 《율요자(尉繚子)》, 천관(天官)조,"
        },
        {
          "text": "黃帝所謂刑德者,以刑伐之,以德守之,非世之所謂刑德也。",
          "translation": "황제의 소위 형덕이라는 것은 형벌로써 그들을 치고, 덕화로써 이(나라)를 지키는 것이지, 세간의 소위 형덕(아래 4.의 뜻)과는 다른 것입니다."
        }
      ],
      "glosses": [
        "형덕. 형벌과 덕화를 아울러 이르는 말."
      ],
      "id": "ko-刑德-zh-noun-fifU48cV"
    },
    {
      "glosses": [
        "형벌과 은상(恩賞)을 아울러 이르는 말."
      ],
      "id": "ko-刑德-zh-noun-B2nFnDk0"
    },
    {
      "glosses": [
        "오행의 상생과 상극."
      ],
      "id": "ko-刑德-zh-noun-~CJ0iIq4"
    },
    {
      "examples": [
        {
          "text": "울요(尉繚) (전국시대), 《율요자(尉繚子)》, 천관(天官)조,"
        },
        {
          "text": "世之所謂刑德者,天官、時日、陰陽、向背者也。",
          "translation": "세인의 소위 형덕이라 함은 천관·시일·음양·향배를 말합니다."
        }
      ],
      "glosses": [
        "음과 양의 성질. 형을 음, 덕을 양으로 본다."
      ],
      "id": "ko-刑德-zh-noun-aWs9dAAM"
    },
    {
      "glosses": [
        "십이진과 십일(十日)을 아울러 이르는 말. ≪회남자≫에서 십이진을 형(刑)이라고 하고 십일을 덕(德)이라 한 데서 나온 말이다."
      ],
      "id": "ko-刑德-zh-noun-Nu8ZU0PM"
    },
    {
      "glosses": [
        "황제(黃帝)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병법서. 전설로 여겨지며 후인이 의탁하여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
      "id": "ko-刑德-zh-noun-93wHRjTD"
    }
  ],
  "word": "刑德"
}
{
  "categories": [
    "중국어 명사"
  ],
  "lang": "중국어",
  "lang_code": "zh",
  "pos": "noun",
  "pos_title": "명사",
  "senses": [
    {
      "examples": [
        {
          "text": "울요(尉繚) (전국시대), 《율요자(尉繚子)》, 천관(天官)조,"
        },
        {
          "text": "黃帝所謂刑德者,以刑伐之,以德守之,非世之所謂刑德也。",
          "translation": "황제의 소위 형덕이라는 것은 형벌로써 그들을 치고, 덕화로써 이(나라)를 지키는 것이지, 세간의 소위 형덕(아래 4.의 뜻)과는 다른 것입니다."
        }
      ],
      "glosses": [
        "형덕. 형벌과 덕화를 아울러 이르는 말."
      ]
    },
    {
      "glosses": [
        "형벌과 은상(恩賞)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
      "glosses": [
        "오행의 상생과 상극."
      ]
    },
    {
      "examples": [
        {
          "text": "울요(尉繚) (전국시대), 《율요자(尉繚子)》, 천관(天官)조,"
        },
        {
          "text": "世之所謂刑德者,天官、時日、陰陽、向背者也。",
          "translation": "세인의 소위 형덕이라 함은 천관·시일·음양·향배를 말합니다."
        }
      ],
      "glosses": [
        "음과 양의 성질. 형을 음, 덕을 양으로 본다."
      ]
    },
    {
      "glosses": [
        "십이진과 십일(十日)을 아울러 이르는 말. ≪회남자≫에서 십이진을 형(刑)이라고 하고 십일을 덕(德)이라 한 데서 나온 말이다."
      ]
    },
    {
      "glosses": [
        "황제(黃帝)가 지었다고 전해지는 병법서. 전설로 여겨지며 후인이 의탁하여 지었을 가능성이 있다.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
    }
  ],
  "word": "刑德"
}

Download raw JSONL data for 刑德 meaning in 중국어 (1.4kB)


This page is a part of the kaikki.org machine-readable 중국어 dictionary. This dictionary is based on structured data extracted on 2025-01-31 from the kowiktionary dump dated 2025-01-20 using wiktextract (bcd5c38 and 9dbd323). The data shown on this site has been post-processed and various details (e.g., extra categories) removed, some information disambiguated, and additional data merged from other sources. See the raw data download page for the unprocessed wiktextract data.

If you use this data in academic research, please cite Tatu Ylonen: Wiktextract: Wiktionary as Machine-Readable Structured Data, Proceedings of the 13th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 pp. 1317-1325, Marseille, 20-25 June 2022. Linking to the relevant page(s) under https://kaikki.org would also be greatly appreciated.